2022-02-15 ~ 2022-03-15

흰빛의 마음: 한국 모더니즘 회화의 재구성



Ⅰ. 모더니티의 조건

이번 전시회의 제목은 규정하기 까다로운 여러 의미로 중첩되어 있다. 주제에 ‘희다’라는 뜻이 포함되어 있다. 그런데 우리나라 미술 속 화이트에는 한자 ‘소(素)’를 포함해야만 그 의미가 통하게 된다. 화이트에는 희다는 지각의 상황을 가리키지, 그 외의 뜻은 따로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소(素)’에는 ‘본디’, ‘바탕’, ‘꾸미거나 덧붙이지 아니한 것’, ‘정성(精誠)’, ‘희다’, ‘질박하다’, ‘분수를 지키다’ 등 뜻의 범위가 훨씬 넓고 용례가 다양하다. 진정 영단어 ‘화이트’라는 한 단어로 로버트 라이먼(Robert Ryman, 1930-2019)의 세계를 규정할 수 있을지언정 한국 작가들의 세계를 모두 규정할 수는 없다. 한국 모더니스트 회화가들의 흰색의 세계는 색과 물성이 지니는 지각을 넘어, 훨씬 다층적이고 유동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두 번째 모더니즘의 의미에 대하여 분명하게 되짚어가야 한다. [옥스퍼드 영어사전 온라인]에서는 영어 ‘modern’의 첫 번째 의미로서 “현재와 최근에 지속되는 것을 가리키며 떨어진 과거와 구별되는 것이다. 현시대 혹은 현재 시기를 유지하거나 현시대에서 비롯된 것을 말한다.”라고 정의한다.(2.a.) 두 번째 의미는 응용된 뜻으로서, “예술과 건축의 운동이거나 그 운동으로부터 파생된 작품을 뜻한다. 그것은 기성과 전통 양식과 가치를 거부하면서 출발한 것이라고 규정될 수 있다.”라고 정의한다.(2.h.) 널리 알려진 것처럼 ‘modern’이라는 말은 6세기에 사용되었던 라틴어 ‘modo’에서 나왔으며, 그 뜻은 ‘바로 지금(just now)’을 의미한다. 이 말은 ‘오늘날의(of today)’라는 뜻을 지닌 단어 ‘hodiernus’와 합쳐져 ‘modernus’가 되었으며, 지금 우리가 당연하고 자연스럽게 쓰는 ‘modern’이라는 말이 되었다. 따라서 ‘modern’은 동아시아의 용어로 17ㆍ8세기를 가리키는 근대(近代)나 20세기, 21세기를 가리키는 현대(現代) 모두를 가리킨다. (학자에 따라서 포스트모던이라는 개념은 실패한 개념으로 규정되기도 한다.) 다만, 동시대를 뜻하는 컨템퍼러리(contemporary)라는 용어가 예술과 만날 때에는, 아방가르드의 급진적 성격이나 시간상으로 가장 현재와 가까운, 말하자면 시간의 업데이트를 강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경향이 있다. 컨템퍼러리 예술과 모더니티 예술을 구분해줄 수 있는 철학적 근거는 애매하다. 이에 대해 당대 최고의 예술철학자인 피터 오스본(Peter Osborne, 1958-)의 의견을 들어보는 것은 의미가 있다.

개념미술은, 형식을 매개로 특권을 부여받을 수밖에 없는, 그리고 동시대 예술이 쟁취해내야 하는 의미와 가능성에 대한 경쟁과 관련되는, 이른바 회화주의(pictorialism)의 인가성에 대한 절대적인 반미학적 입장으로부터 출발한 것이다.……이런 면에서 ‘후기개념미술(post-conceptual art)’은 예술의 특정 형식을 지칭하는 이름이 아니다. 오히려 동시대 예술 일반의 생산에 대한 역사적, 존재론적 조건을 지칭하는 것이다.

윗글에서 피터 오스본은, 개념미술, 나아가 후기개념미술에 관하여 설명하면서, 이 둘은 형상적 예술(pictorialism) 일반에 대한 반발적 기류로서 나타난 현상으로서 동시대 작품 생산의 역사적 조건을 지칭하는 개념일 뿐이며, 그 외 다른 어떤 미적 형식이나 철학적 구분을 구유하는 개념이 아니라고 말하고 있다.

또 하나의 중요한 관점을 제시한 사람이 있다. 나이지리아 출신 큐레이터 오쿠이 엔위저(Okwui Enwezor, 1963-)가 유럽의 모더니티를 슈퍼모더니티(Supermodernity, 탁월성을 강조)로 지칭하고, 아시아의 모더니티를 앤드로모더니티(Andromodernity, 가부장적 질서를 강조)로 명명하며, 이슬람권의 모더니티를 스페시어스모더니티(Speciousmodernity, 허울뿐인 정책을 강조)로 설명한 후 아프리카 모더니티를 애프터모더니티(aftermodernity, 후발적 지위를 강조)라고 명명했다. 이는 각각 문화권이 지닌 모더니티 조건을 브랜드화한 것으로 음미해볼 가치가 있다. 오쿠이가 모더니티의 지역적 차이를 강조할수록, 오히려 모더니티의 본질은 불변하는 것이며, 모더니티는 여전히 문화에서 우세를 점하는 것은 물론 후기(post-), 대안(alter-), 반복(re-)과 같은 온갖 접두어의 개념을 포괄하면서 하위의 개념에 가둔다는 사실이 드러나게 된다. 모더니즘은 철학적으로 보았을 때도 여전히 끝나지 않았으며, 그것은 역사적ㆍ지역적 조건이라는 외투만을 바꾸어 입었을 뿐이다.

모더니즘과 모더니티에 대해서 가장 큰 영향력을 지니며 가장 통찰력 있는 관점을 제시했던 니콜라 부리오(Nicolas Bourriaud, 1965-)의 문장을 살펴보아도 문제의 핵심은 같다.

대안모더니즘(altermodernism)은 이시성(異時性, heterochrony)으로부터 출발하여 무언가를 산출할 수 있게 된 시기라고 정의할 수 있다. 즉, 인간의 역사가 복합적 시간성으로 구성된다는 시각으로서, 아방가르드에 대한 향수를 거절하면서도, 혼돈과 복잡성은 긍정하는 시각이다. 그것은 시간을 무한고리 속으로 가두어 석화(石化)시키는 속성(포스트모더니즘)도 아니며, 역사의 선형적 시각(모더니즘)도 아니다. 그것은 오히려 현재의 모든 차원을 탐험하며, 또 시공의 모든 방향의 선로를 좇는 예술형식을 통해서 드러나는, 지향성 없는 경험의 차원을 긍정하는 것이다.

니콜라 부리오 역시 대안모더니즘을 가리켜, 예술형식의 어떠한 속성이나 특수성으로 특정해서 파악하지 않는다. 니콜라 부리오는 대안모더니즘을 설명하면서, 예술형식의 시대성과 내적 발전도식을 긍정하는 모더니즘의 개념, 그리고 그것을 부정하며 태어난 포스트모더니즘은 무한고리 속에서 순환한다는 개념, 그 둘 사이 어디쯤인가에서 자기를 분명하게 표명해내지 못하는 역사적 징후 정도로 해석하는 데 그치고 있다. 학자들은 온갖 접두어를 붙여서 모더니티를 극복하고, 20세기 중반기의 예술현상과 그 후를 철학적으로 구분하고자 하지만, 그러한 노력이 더해질수록 오히려 모더니티의 가공(可恐)할 정신만이 두드러질 뿐이다. 그렇다면 모더니티는 무엇일까?

한마디로 모더니티는 피안(other-worldly)의 가치를 지상 세계(this-worldly)의 관점 속에 가둔다. 초자연적 세계를 거부하며 신의 죽음을 선포하면서 형이상학적 가치를 세속화한다. 미국의 신문 「크로니클 오브 하이어 에듀케이션」은 모더니즘에 대해 알기 쉽게 정의한다. “모더니티의 주된 특징은 초월성에 대한 신념의 상실에 있다. 동시에 모더니티는 일상생활만을 감싸며 초월적 실체에 대한 신념으로부터 거리를 둔다.” 모더니티 이전의 세계관에서 가장 위대했던 것은 ‘가장 완벽한 존재(ens perfectissimum)’를 상정해낸 것이며, 또한 우주가 위계적 단계로 설정되어 있다는 관념을 형성해낸 사실에 있다. 근대 과학의 역사는, 그것이 신성한 성서보다도 실재에 대해서 훨씬 신뢰할만한 결과를 갖추고 있다고, 설득해온 여정이다. 과학은 근대적 믿음, 즉 모던 페이스(modern faith)라는 말과 같다. 모던 페이스는, 그동안 사람들이 중시했던 체계들, 가령 가치, 의미, 목적, 질, 비가시적인 것(invisible), 상위자(superiors) 등 수직적 차원의 체계에 대해 묵과하면서, 설명할 수 있는 세계만을 실체라고 규정했다. 모던 페이스는 결국 형이상학의 세속화에 다름 아니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이 모더니티는 현재까지 여전히 유지되며 진행되는 프로젝트이다. 단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역사적 조건이 변화되었기 때문에 그 형식의 외양이 달라 보이더라도 근원적으로 모더니티의 정신은 변하지 않고 현재까지 유지되고 있다.

그렇다면 모던 페이스가 예술계는 어떻게 변모시켰는가? 모더니즘 예술이 지향하는 가치는 순혈주의에 있다. 순혈주의는 정통성(legitimacy)을 따진다. 정통성은 계보학(genealogy)에서의 적장자 계승(primogeniture succession)을 원칙으로 한다. 적장자 계승의 적법성에 대한 원칙과 근거는 매우 철학적이다. 모더니즘 예술은 본질주의(essentialism)라는 초점(focus)에 맞추어 세계를 본다. 본질주의란, 회화는 평면성(flatness)이라는 본질에 부합해야 한다는, 신조이다. 반대로 조각은 물질성(materiality)의 본질의 최종적 대답을 향해 나아가야 한다. 모더니즘 예술은 본질주의에 의한 순혈의 적법성과 그것에 수반한 적자상속의 신화성을 연출해냈다. 모더니즘 예술은 철학적 모더니즘과 달리 수직적 가치를 포기하지 않았다. 그런데 그 가치들의 본원이 무엇이며 어떠한 특질을 지녔는지 실증하는 작업보다 먼저 요구되는 것이 있다. 이러한 가치들이 어째서 형성되고 유지되었는지 그 사상사적 배경을 우선적으로 탐구해야 한다는 것이다. 우리는 여기서 미셀 푸코(Michel Foucault, 1926-1984)의 중대한 발언을 음미해야 한다.

사상사의 주요 책무는 다음과 같다. 즉, 인류는 그들이 누구이며, 그들이 무엇을 하고, 그들이 사는 세계가 어떠한지에 대한 문제들과 관련된 조건들을 정의하는 것이다.

윗글에서 미셀 푸코는 사상이란 인류가 사는 세계의 조건을 정의하는 작업이라고 선언하고 있다. 모더니티 역시 모더니티가 발생했던 세계의 조건, 그리고 지금도 여전히 유효한 그 조건이 무엇인지 먼저 물어야 한다. 앞서 언급되었던 1978년도 「크로니클 오브 하이어 에듀케이션」의 기사는, 모더니티를 형이상학의 세속화라고 규정하고 있다. 형이상학은 세계의 제1원인을 추론해가는 학문이다. 결국 신성(deity)을 추구한다. 그러나 실체(reality)를 규정하는 일을 과학에게 이양했을 때, 세계의 본질 규명은 거인 과학자의 어깨에 올라타야 했다. 그리고 예술이 모더니티의 신념을 받아들였을 때, 예술은 본질주의의 포커스에 맞추어 세계를 인식해야 했다. 그런데 우리가 알고 있는, 포커스(focus)는 단순히 초점(焦點)만을 뜻하지 않는다. 포커스의 라틴어는 ‘가정의 난로(domestic hearth)’라는 뜻을 지닌다. 그런데 난로의 주인은 어머니가 아니라 아버지이다.

우리는 누구나 어렸을 때 집안의 불에 관심을 가졌을 것이다. 그것이 난로이든지 화로이든지 부뚜막이든지 어린 시절의 불은 꿈 자체이다. 마치 나방처럼 불에 다가서는 우리를 막은 것은 아버지이다. 손을 불 속에 집어넣을 때면 어김없이 막대기로 손을 내리쳤고, 불 속을 향해 뛰쳐 갈 때면 목덜미를 잡았다. 나중에 우리가 자라고 나서 아버지의 성냥을 훔쳐서 야외에 불을 피운 경험이 있을 것이다. 불의 절도는 좌절된 꿈의 보상이기 때문이다. 불을 피우고 우리는 모두 아버지의 불 다루는 솜씨와 나의 솜씨를 비교했다. 그러나 프로메테우스(Promêtheus)는 아버지 제우스(Zeus)로부터 불을 훔쳐 아버지의 전능함과 자신의 능력을 비교하다 형벌에 처한다. 프로메테우스의 어원은 먼저를 뜻하는 ‘pro-’와 생각하다는 뜻의 ‘mêtis’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불을 훔친 프로메테우스는 예술가이며, 예술가는 먼저 생각하는 일에 사활을 건다. 그러나 최초의 조상이자 아버지인 제우스를 넘어설 수 없다. 단지, 적법성과 적자(嫡子)의 조건이라는 이름의 유산을 상속받을 수 있을 뿐이다.

모더니즘 회화는 최초로 평면성의 중요성을 파악해낸 세잔(Paul Cézanne, 1839-1906)으로부터 출발한다. 따라서 우리는 세잔에게 제우스의 자격을 부여할 수 있다. 우리는 세잔 이후에 고흐를 보며, 고흐 이후에 피카소를 본다. 피카소 이후에 폴록을 보며 폴록 이후에 바넷 뉴먼과 마크 로스코를 본다. 우리는 수많은 회화가를 보게 되지만, 아버지 제우스 없이 태어난 프로메테우스는 없다는 사실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그가 아무리 앤디 워홀이고 게르하르트 리히터일지언정 아버지 없는 예술가는 존재하지 않는다. 더구나 우리가 이 시간을 통해서 알고자 하는 대상은 서구 모더니티의 기원과 양상이 아니다. 바로 우리의 모더니티를 알고자 한다.

앞서 언급되었던 나이지리아 큐레이터 오쿠이 엔위저는 각 대륙의 모더니티에 브랜드를 수여하면서 동아시아의 모더니티를 앤드로모더니티(Andromodernity)라고 명명했다. 안드로(andro-)는 남성을 뜻하는 희랍어 명사 아네르(anēr, ἀνήρ)에서 나왔다. 아네르는 다 자란 성인 남성을 뜻하기도 하면서 남편(husband)을 뜻하기도 한다. 오쿠이 앤위저는, 모더니티가 본래 가부장적 질서의 산물이기도 하거니와 가부장적 질서가 유달리 동아시아에서 심화하여 발전되었던 사실을 강조한 것이다.

Ⅱ. 동아시아의 예술 인식과 그 계왕(繼往)으로서의 현대

명대에 항목(項穆, ?-?)이라는 사람이 있다. 16세기 중반 즈음에 태어난 사람이다. 항목은 그의 저서 [서법아언(書法雅言)]을 통해서 문자를 쓰는 사람이 어떠한 사람이냐에 따라 문자 형상의 미추와 공졸(工拙)이 나뉘고, 이에 따라 중화(中和)와 광견(狂狷)을 중심으로 다양한 비평적 논의를 시도했다. 열여덟 장으로 이루어진 [서법아언]의 첫 장은 「서통(書統)」이다. 여기서 통(統)이라는 말은 정통(正統)의 계승(legitimate succession)을 뜻한다. 동아시아 문화에서 가장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의제가 바로 계통의 문제이다. 왕위 계승과 국가의 문제에서 정통(正統)이 있고, 유가 도학에서 도통(道統)이 있다. 문장에서 문통(文統)이 있는가 하면, 예술에서는 서예에서 서통(書統)이 있고, 그림에서는 정파론(正派論)이 있다.

그렇다면 동아시아 사상에서 중요한 통(統)의 문제는 무엇과 관련하는가? 이 문제는 항목의 [서법아언]의 「품격」에서 단서를 찾을 수 있다. 「품격」 장에서 항목은 정종(正宗) 관념에 대해 논의한다. 정종이란 예술의 최고경지를 뜻한다. 항목은 정종의 예시로 왕희지(王羲之, 307-365)의 글씨를 손꼽는다. 정종은 진선진미(盡善盡美)를 실현한 것을 말하는데, 왕희지가 그 경지에 다가섰다는 것이다. 그 구체적 사항으로 주로 세 가지를 꼽고 있다. 우선 왕희지는 회고통금(會古通今)을 이룬다는 것이다. 즉, “옛날과 지금의 모든 글씨를 섭렵해서 하나로 꾀어낸다.” 둘째, 불격불려(不激不厲)하다는 것이다. 즉, “격하지도 않고 어그러지지도 않는다.” 중화(中和)를 이루었다는 뜻이다. 셋째, 계왕개래(繼往開來)했다는 것이다. 즉, “과거를 이어 미래를 열었다.” 항목은, 맹자가 공자를 평가하며 사용했던 집대성(集大成)이라는 말과 [중용]의 핵심개념인 시중(時中), 주희가 “옛 성인을 이어 미래의 학문을 연다[繼往聖, 開來學].”라고 말했던 부분을, 논의의 중심 개념으로 끌어낸다. 따라서 항목은 과거의 문화적 전범을 통섭하여 현재의 시변(時變)을 모두 고찰해서 미래를 여는 예술을 가리켜 정종이라고 했다.

동아시아에서 이러한 예술 인식은 더욱 오래된 역사를 갖고 있다. 예를 들면, 북송시대의 시인 강기(姜夔, 1155-1221)는 예술의 지극한 경지는 정신과 통하지 않는 것이 없다는 뜻을 피력했으며, 원나라의 서예가 성희명(盛熙明, 1281-1347)은, 서예란 마음이 움직이는 흔적이 드러난 것이기에, 마음속에 쌓인 덕의 기운이 손에 의한 운필로 표현되는 예술이라고 정의했다. 시간이 지나 청나라에 오면 유희재(劉熙載, 1813-1881)가 “예술이란 도가 드러난 것이다.”라고 하여 예술이 갖는 진정한 의미를 도와 연관 지어 정의했다. 나아가 유희재는 “글씨란 심학(心學)이고, 글자를 옮긴다는 것은 뜻을 옮긴다는 뜻이다.”라고 하여 심화(深化)된 차원의 예술은 심학에서 비롯되는 것임을 밝히고 있다. 동아시아의 예술 인식에서 가장 고차원적 개념은 도(道)와 마음[心]이다. 수많은 사람들이 도와 마음에 대하여 이야기해왔다. 그러나 그것이 정확히 무엇을 가리키는지 특정하지 못한다. 동아시아의 예술은 주로 다음에 등장하는 세 가지 차원과 관련하여 예술을 인식해왔다.

인심은 위태롭고 도심은 은미하니, 오직 정밀하고 한결같이 해야만 진실로 그 중을 잡을 것이다.

솔개는 날아 하늘에 이르는데, 물고기는 연못에서 뛰논다. 즐겁고 화평한 군자여, 어찌 인재를 기르지 않으리오.

공자께서 냇가에 계실 때 말씀하셨다. “흘러가는 것이 이와 같구나! 밤낮으로 쉬지 않고 흐르는구나!”

첫 번째 글은 [서경(書經)] 「대우모(大禹謨)」에서 요임금이 순임금에게 전수했다는 심법이다. 우리의 마음은 외물[物]에 쉽게 유혹되어 인심(人心)으로 흐른다. 이를 바르게 붙잡아 도심(道心)의 중(中)을 유지해야 한다. 동아시아의 예술은 외물에 흔들리지 않는 도심을 얻는 여정 속에서 꽃피웠다. 두 번째 글은 [시경(詩經)]에 수록되어 있는 「한록(旱麓)」이라는 시로서, 하늘에 솔개가 날고 물속에 고기가 뛰어노는 것이 자연스럽고 조화로운데, 이는 솔개와 물고기가 저마다 나름의 타고난 길을 가기 때문이라는 세계의 진리를 상징하고 있다. 인간의 길 역시 타고난 길을 가야하며, 그 길이란 바로 도심을 찾는 과정이다. 세 번째 글은 [논어(論語)] 「자한(子罕)」 편에서 공자가 흐르는 냇가 위에서 흐르는 물을 바라보고 탄식한 장면이다. 누가 냇물을 쉬지 않고 흐르게 하는지 몰라도 그것의 흐름은 멈추지 않는다. 자연, 나아가 우주에 성(誠)이 있다면, 우리의 본성에도 성(誠)이 있을 것이다. 동아시아 예술가들은 이 세 가지를 기억하며 창작에 임했다.

따라서 당대(唐代)의 장회관(張懷瓘, ?-?)은 “글씨를 깊이 아는 사람은 신채(神采)만을 보지 글자의 형태[字形]을 보지 않는다.”라고 말했으며, 동진(東晉) 시대의 왕희지는 “천태자진(天台紫眞) 선생께서 내게 말씀해주셨다. ‘그대가 비록 지극할지라도 아직 완선(完善)에 이르지 못했다네. 글의 기운이란 반드시 도(道)에 도달해야 하는데, 그것은 혼원의 이치와 같은 것이라네.’”라고 말했다. 이 두 사람의 논의는 한대(漢代)로 거슬러가 양웅(揚雄, 53B.C.-18A.D.)이 “글씨란 마음의 그림이다.”라고 말했던 심화(心畫)라는 개념의 연장선에 불과하다.

말이란 그 마음에 통달할 수 없고, 글이란 그 말에 통달할 수 없으니 참으로 어려운 것이다. 오로지 성인만이 말의 깨침을 얻고 글의 요체를 얻는다. 밝은 태양에 비추고 강물에 씻은 것 마냥 밝고 맑아서 성인을 막을 수가 없는 것이다. 얼굴을 서로 대하고, 말로써 서로 대적하여 마음속에서 서로 하고자 하는 바를 이리저리 굴려서, 여러 사람의 떠들썩한 분노를 통하는 것은 말과 같은 것이 없다. 천하의 일을 두루 다스리고, 오래된 것을 기록하고, 먼 것을 밝힘에 오랜 옛적의 흐린 것을 현저하게 드러내고, 천 리의 사리에 어두운 것을 전하는 것은 글만 한 것이 없다. 그리하여 말은 마음의 소리이고 글은 마음의 그림이다. 소리와 그림이 밖으로 나타나면 군자와 소인이 보이는 것이다. 소리와 그림이라는 것은 군자와 소인의 정(情)을 움직이는 까닭이기 때문이리라.

윗글에서 양웅은 말[言]을 심성(心聲)이라 규정하고 글[書]을 심화(心畫)로 규정하면서 최종적으로 군자와 소인의 학식 여부, 정감표현의 적절성, 판단력, 인품의 고하(高下)로써 서여기인(書如其人) 내지 서류기인(書類其人)의 결론에 이른다. 글과 그림은 마음의 표현이며, 이는 그 사람의 수준을 그대로 반영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동아시아에서의 예술은 곧 그 사람의 인품 그 자체를 판단하는 표지(標識)에 다름 아니다. 즉, 동아시아의 예술에 대한 사유는 구체적으로 형으로 드러난 소연(所然)의 세계보다도 행간에 숨어있는 근원적 원리, 즉 도리의 원천으로서의 소이연(所以然)의 세계에 대한 이해를 요구했다. 이러한 동아시아의 예술 인식은 조선조에도 반영되어, 퇴계(退溪) 이황(李滉, 1501-1570), 간재(艮齋) 이덕홍(李德弘, 1541-1596), 대산(大山) 이상정(李象靖, 1711-1781)의 예술 인식과 정확하게 부합된다.

이상으로 보았을 때 동아시아 예술은 세 가지 중심사유로 발전해왔다. 동아시아의 예술 사유는 첫째, 1) 계통의 성립을 중시했다. 즉, 서통(書統)이나 정파(正派)와 같은 정종(正宗) 의식을 매우 중시했다. 정종의 자격은 회고통금(會古通今)하여 계왕개래(繼往開來)하는 작가에게 수여된다. 둘째, 2) 동아시아의 예술은 심학(心學)의 예술이다. 심학의 예술은 도리[道]가 무엇인지 찾아가는 과정으로서의 예술이다. 주로 요순(堯舜) 사이에 오갔던 16자 심법과 관련되며, [중용]의 시중(時中), [시경]의 연비어약(鳶飛魚躍), 공자의 서자여사부(逝者如斯夫)의 진리를 체화하는 과정과 관련된다. 셋째, 3) 글씨, 또는 그림은 마음의 그림이어야 한다. 그림은 그것을 그린 사람의 모든 수준, 판단력, 학식, 인품을 그대로 드러내는 거울이다. 따라서 그림은 그 사람 자체이다. 이 세 가지 중심사유는 서구 모더니티에서 요구하는 1) 계통 의식, 2) 평면성을 찾아 나아가는 본질주의의 철학성, 3) 스타일(style)은 그 사람 자체라는 논의와 일맥상통한다. 따라서 한국 모더니즘 회화는 서구 이념의 단순한 이식이 아니라, 유구하게 흘러서 우리에게 체화되었던 예술 인식의 현대화라고 볼 수 있다. 이에 최명영(崔明永, 1941-) 작가는 통찰력 있는 혜안을 제시한다.

미국의 미니멀리즘은 지향성, 즉 작가가 세계에 자신을 표명하는 태도(attitude)를 중시한 것입니다. 일본의 모노하는 사물과 사물 사이의 관계(relation), 나아가 나와 사물 사이의 관계를 조응하는 것입니다. 우리나라 단색화는 과정(process)의 통찰 속에서 작품이 탄생합니다. 과정은 사유이면서 수양입니다. 영원히 끝나지 않는 프로젝트입니다. 자신을 화면에 일치시켜 사람과 그림이 둘이 아니라는 진리를 얻으려는 치열한 과정입니다. 이 과정에서 정신과 도리[道]가 모두 잉태됩니다.

최명영 작가는 미국과 일본, 우리나라가 공유하고 있는 평면적 물성 회화의 행간에 자리하고 있는 본질적 차이에 대해서 간명하게 요약해준다. 본질적 차이는 정신성의 차이에서 비롯된다는 것이다. 미국의 경우 미니멀리즘 미술은 1959년에 태동한 것으로 파악되지만, 1966년 뉴욕의 유대미술관(Jewish Museum)에서 열린 「기초적 구조(Primary Structures: Younger American and British Sculpture)」라는 전시회가 앞으로 미술사를 잠식할 미니멀리즘의 전면적 신호탄이 된다.

이 전시회에는 주디 시카고(Judy Chicago, 1939-), 피터 포라키스(Peter Forakis, 1927-2009), 댄 플래빈(Dan Flavin, 1933-1996), 엘스워스 켈리(Ellsworth Kelly, 1923-2015), 리처드 반 뷰런(Richard Van Buren, 1937-), 아이삭 위트킨(Isaac Witkin, 1936-2006), 칼 안드레(Carl Andre, 1935-), 마이클 볼러스(Michael Bolus, 1934-2013), 도널드 저드(Donald Judd, 1928-1994), 로널드 블레이든(Ronald Bladen, 1918-1988) 등이 참여했다. 이론가 힐튼 크레이머(Hilton Kramer, 1928-2012)는 이 전시회에 대하여 뉴욕 타임즈에 세 차례 이상 기고하면서 “새로운 시대의 미학은 우리에게 달려있다.”고 발언했다. 미국 최고의 큐레이터로 평가받는 키너스톤 맥샤인(Kynaston McShine, 1935-2018)은 이 전시회를 가리켜 “이전에는 전혀 볼 수 없었던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 전시회는 당대 최고의 미술사가 마이어 샤피로(Meyer Schapiro, 1904-1996) 역시 기획자로 참여했다. 이로 미루어 볼 때, 미니멀리즘은 가장 기초적 구조(primary structures)를 찾아서 전대와 완전히 절연하여 새로운 미학을 창출하기 위해 만들어졌던 조직적인 기획이었음을 알 수 있다.

이 전시회로부터 이론가이자 작가인 로버트 모리스(Robert Morris, 1931-2018)는 반복적으로 양산되는 미니멀리즘의 작품들을 바라보면서, 미니멀리즘 작품이 여타 다른 작품과 구별되는 특성을 가리켜서 미니멀리즘이 지닌 ‘연쇄성(seriality)’이라고 진단했다. 반복적 패턴의 사용, 공정 시스템을 도입해서 작품을 양산하는 방식이 바로 연쇄성이라는 것이다. 1966년 즈음에 화단의 주류가 되었던 도널드 저드는 자기 작품 세계의 특징을 가리켜 연쇄적 태도(serial attitude)라고 불렀다. 미니멀리즘의 본령은, 최명영 작가의 말 그대로, 세계에 대한 태도와 관련된다. 이로써 최명영 작가의 혜안은 입증된다.

일본의 모노하(もの派, Mono-ha)의 경우 1970년 2월 「발언하는 신인들: 비예술의 지평으로부터(Voices of Emerging Artists: From the Realm of Non-Art)」라는 전시회에서 전기를 맞이한다. 야외의 설치작품과 건물 안의 설치작품으로 구성되었던 이 전시회는 가공되지 않은 자연의 날것과 산업재료, 가령, 캔버스, 숯, 면화, 먼지, 와시(和紙), 기름, 밧줄, 돌, 나무토막, 유리판, 전구, 플라스틱, 고무, 강철판, 합성 쿠션, 와이어 등을 바닥에 직접 놓아두는 방식으로 기존의 전시와 차별점을 두었으며, 전시가 진행되는 건축, 환경과의 상호작용적 관계성(relationship)에 기반을 두었다. 이 초기 전시회는 2013년 미국 로스엔젤레스의 블럼 앤 포(Blum & Poe)에서 「태양을 위한 진혼곡(Requiem for the Sun: The Art of Mono-ha)」이라는 제목으로 재현되었다. 제목은 대상(物, object)이 지닌 영원성과 영속성의 상징체인 태양의 죽음을 천명하면서, 대상에 함축된 영속성과의 단절을 상징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미·일 안보조약(the U.S.-Japan Security Treaty), 반베트남전 운동, 석유파동 등 당대 작가가 처한 내외적 현실에 대해서 자기의 현실적 순간으로부터 역사적 계기를 살펴야 한다는 모호한 제스처의 저항 정신이었다.

요시다케 미카(Mika Yoshitake) 선생은 모노하를 분석하면서 여타 미술운동과의 차별점에 대해 논의한다. 자연으로 돌아가자는 전통적 일본 사유와도 절연했으며, 또 아르테포베라(Arte Povera)나 미니멀리즘과 달리 스스로 운동을 정의하지도 않았다는 것이 그 첫 번째 분석이다. 또 모노하는, 1973년 즈음에 비평가들에 의해서 산발적이었던 현상이 회고적으로 종합되면서, 명명된 이름이라는 것이다. 요시다케 미카에 의하면, 전후인 1950년대 요시하라 지로(吉原治良, 1905-1972)에 의해 설립되었던 행동 기반적 예술단체 구타이(具體, Gutai)와도 구별되는데, 구타이는 손에 잡히는 감각적 물질(物質, busshitsu)과 인간의 정신을 동일화시켰다고 증언한다. 그러나 이에 반해 모노하는 물질과 조응하면서 생기는 감수성을 구어로 표현해낸다고 분석한다. 가령, 두근거리고(どきっと, heart stopping), 떨리며(ぞくっと, spine-chilling), 황홀한(しびれる, thrilling) 감각을 사물과 환경 속의 관계 속에서 구현하고자 했다는 것이다.

요시다케 미카는, 모노하의 영수(領袖)인 이우환(李禹煥, 1936-) 작가가 세키네 노부오(関根伸夫, 1942-2019)의 자유 상태의 개념을 끌어냈다는 점에 대해서도 논증하고 있다. 자유 상태는 대상의 본질적 상태를 드러내는 국면이기에 가장 중요한 개념이라는 것이다. 그런데 모노(もの)는 대상의 형식에 의미가 있는 것이 아니며, 그들의 존재를 드러내는 구조에 의미가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모노(もの)는 물(物)과 근본적으로 구별된다. 요시다케 미카는, 모노가 하나의 국면(局面, phrase)이며, 중재(intermediary)라는 점을 강조한다. 모노는 관람자와 대상 사이에서 모종의 통로(passage)를 설정해준다는 것이다. 따라서 철저하게 환경과 사물과의 관계로써 그 이념이 정립되고 있다. 진정으로 모노하는 관계적 미학 속에서 생명력을 발휘하고 있다. 이로써 최명영 작가의 두 번째 가정 역시 사실로 증명된다. 그렇다면, 한국의 단색화는 이와는 다른 논의를 구축하고 있을 것이다.

앞서 이야기했듯이, 단색화는 모더니티와 동아시아의 전통적 예술 인식의 종합체이다. 모더니즘 회화가 회화의 본질을 묻는 과정의 역사라면, 동아시아의 예술 인식은 마음[心]의 본질을 찾아가는 철학적 사유에서 태어났다. 그렇다면 한국의 모더니즘 회화의 역사는 심학(心學)의 현대적 형식의 창조적 확립을 향해 묵묵히 걸어왔던 역사라고 정의할 수 있다. 마음은 도심(道心), 즉 도덕적 자기 확정성의 확신을 말하는 것이며, 예술은 이 중차대한 정신적 문제의 증험으로서만이 의미가 있을 수 있었다. 우리는 다시금 기억해야 한다. 2,500년 동안 16자 심법의 진리를 예술형식으로써 외재화하려는 장구한 역사를 갖고 있고, 그 역사는 현재 지금도 진행 중이다. 따라서 모더니티의 철학이 이처럼 고도화된 유례는 우리나라를 제외하고 세계 그 어디에서도 찾아볼 수가 없다. 모더니티는 전통과의 단절을 요구한다. 그러나 만날 수 없는 모더니티와 전통문화의 운명은 우리나라에서 절묘하게 화합한다. 가령, 모더니티 시인 김수영(金洙暎, 1921-1968)의 시 「공자의 생활난」에서 ‘마카로니’와 “조문도, 석가사의(朝聞道, 夕可死矣).”는 절묘하게 화합한다. 박수근(朴壽根, 1914-1965)의 회화에서 어머니(여성)의 고난은 견고한 남성성의 화강석의 마티에르와 만난다. 이응로(李應魯, 1904-1989)의 회화에서 수천 년간 누적되었던 서예사는 형식주의 미학과 만나 모더니티의 극치를 얻는다. 한국 모더니티 속에는 불가사의한 힘이 숨어있다.

Ⅲ. ‘화이트’와 ‘素’의 의미 구별과 그것을 체현한 작가들

우리는 어째서 흰색(white)을 사용했는가? 그러나 흰색이라는 한 단어로 ‘소(素)’라는 표현을 모두 담아낼 수는 없다. 앞서 이야기했듯이, ‘소(素)’에는 ‘본디’, ‘바탕’, ‘꾸미거나 덧붙이지 아니한 것’, ‘정성(精誠)’, ‘희다’, ‘질박하다’, ‘분수를 지키다’ 등의 뜻이 내포되어 있다. 후한시대에 허신(許信, 58?-147?)이 편찬한 [설문해자(說文解字)]에는 ‘소(素)’자에 대해 “소(素)는 흰 비단이라는 뜻이다. 멱과 수로 구성되었다. 그 광택을 취한 것이다. 소부(素部)에 속하는 모든 한자는 소(素)의 의미를 따른다.”라고 설명한다. 허신은 ‘소(素)’의 본원이 흰 비단이라고 설명한다. 아무것도 가공되지 않은 상태의 비단이다. 따라서 귀하고 고결한 옷감이지만 아무것도 꾸미지 않은 상태를 가리켜 ‘소(素)’라고 한다. 후한 시대의 대표적 유학자 정현(鄭玄, 127-200)은 [예기(禮記)]의 「잡기(雜器)」를 해석하면서 다음과 같이 말한다.

“소는 가공하지 않은 비단이다.”라고 하였다. 그렇다면 가공하지 않은 비단을 ‘소(素)’라고 하는 것인데, 이것은 비단을 삶아서 다듬어 놓은 것을 ‘련(練)’이라고 하는 것과 대비하여 말한 것이다. 모든 흰색은 색깔이 하얗기 때문에 ‘소(素)’라고 부르게 되었다. 흰색은 다른 채색을 받아들이기 때문에 모든 사물의 바탕을 ‘소(素)’라고 한다. 예를 들어, ‘각(殼)’자의 아래에서 “일설에는 바탕이라는 뜻이라고 한다.”라고 한 것이 그러한 예이다. 바탕으로 아직 무늬가 더해지지 않은 것이다. 그러므로 말하길 ‘소식(素食)’이라든가 ‘소왕(素王)’이라는 말이 있다. [시경]의 「벌단(伐檀)」을 [모전(毛傳)]에서는 “소는 비어있다[空]는 뜻이다.”라고 해석했다.

허신과 정현 모두 가공하지 않은 천연의 고귀함을 ‘소(素)’라고 정의하고 있다. 특히 정현은 그것을 가리켜 모든 사물의 바탕이라고 설명한다. 소식(素食)은 소탈하지만, 건강에 좋은 식사이며, 소왕(素王)은 지금 왕이 아니더라도 왕의 덕성을 갖추었기에 언젠가 왕이 될 사람을 가리킨다. 따라서 ‘소(素)’는 현실의 사태보다 앞으로 일어날 무한한 가능성의 뜻을 담고 있다. 우리나라 조상들은 이미 세련(洗練)되고 정선(精選)된 인위의 ‘련(練)’의 세계보다 아직 손이 가지 않은 ‘소(素)’의 세계를 상찬했다. ‘소(素)’는 비어있는 ‘공(空)’자와 뜻이 통한다. 비움으로써 오히려 더 많은 가능성을 내포하는 경지를 가리킨다.

주대의 초나라 갈관자(鶡冠子)라는 사람이 지었다는 [갈관자(鶡冠子)]의 「학문(學問)」 편에도 ‘소(素)’자가 나온다. 갈관자는 “도덕이란 행동거지의 근본이 되는 것이다.”라고 말한다. ‘소(素)’는 근본, 즉 무언가 사물이나 사태의 본질을 뜻한다. [한비자(韓非子)]에서는 “군주가 좋아하는 것과 싫어하는 것을 버리면 신하는 진정성을 드러낼 것이고, 신하가 진정성을 보이면 군주는 폐단이 없을 것이다.”라는 문장이 나온다. 여기서 ‘소(素)’는 본마음[本心], 즉 진정성을 뜻한다. [노자(老子)] 19장에는 “소박한 것을 찾아서 지니고 삿된 것을 적게 하고 욕심을 줄여야 한다.”라는 문장이 나온다. 여기서 ‘소(素)’는 소박한 것, 소탈한 것을 뜻한다. [회남자(淮南子)]에서도 “그 마음은 온화하여 속이는 행위는 하지 않았고, 일하는 데에서는 소박하여 꾸밈이 없었다.”라는 구절이 나온다. 역시 소박하다는 뜻이다.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의 희공(僖公) 28년 기사에 “그들(초나라 군사)은 평소처럼 배불리 먹었으니 결코 지쳤다고 말할 수 없습니다.”라는 구절이 보인다. 여기서 ‘소(素)’는 평소라는 뜻을 지닌다. 매일같이 반복되는 일상생활의 시간을 뜻한다. [시경]의 「벌단(伐檀)」에서 “저 군자는 일하지 않으면 먹지 않는다.”라는 구절이 나온다. 여기서 ‘소(素)’는 비어있다는 뜻으로 쓰인다. [사기(史記)]에도 미리 혹은 사전에라는 뜻을 지닌 ‘소(素)’가 등장한다. “물자가 미리 갖춰지지 않으면 군사를 감당할 수가 없다.” 마지막으로 동파(東坡) 소식(蘇軾, 1037-1101)은 「여산(廬山)을 여행하고 적다」라는 시에서 “푸른 산은 옛적의 정감과 달라서 아득히 높아 가기 쉽지가 않구나.”라며 노래한다. 이 시에 등장하는 ‘소(素)’는 옛 정감을 뜻한다. 정리하면 ‘소(素)’는 1) 가공되지 않은 천연의 고귀함, 2) 무한한 가능성, 3) 근원적인 것, 4) 진정성, 5) 세속을 떠나 소탈한 것, 6) 평소 일상 속에 숨어있는 진실, 7) 비어있음 8) 미리 준비해두는 정신, 9) 옛날이나 지금이나 변함없이 일관된 정취를 뜻한다. 따라서 우리가 장구한 역사에 걸쳐 흰색을 사랑했던 것은 이러한 철학에서 비롯된 것임을 알아야 한다.

이번 전시회는 1975년에 일본 도쿄 갤러리(東京畫廊)에서 열렸던 전시회 「한국 5인의 작가: 다섯 가지 흰색 전」, 일명 「흰색(Hinsek) 展」의 미학과 정신을 실존적 입장에서 재정리한 성격을 지닌다. 1975년도 전시에서 미술비평가 이일(李逸, 1932-1997)은 “한마디로 白色(백색)은 스스로를 具顯(구현)하는 모든 可能性(가능성)의 生成(생성)의 마당이다.……우리의 畵家(화가)들에게 있어 白色모노코롬은 차라리 세계를 받아들이는 비전의 제시다.” 이일 선생 역시 흰색을 모든 가능성과 새로운 생성의 토대로서 그 의미로 해석하고 있다. 또한, 세계를 수용하는 총체적 비전의 유래처로 파악하고 있다. 이 전시회의 제목 「흰색(Hinsek)」의 명명자는 이우환 작가로 알려져 있다. 이 전시회에 참여한 다섯 작가는 권영우(權寧禹, 1926-2013), 박서보(朴栖甫, 1931-), 서승원(徐承元, 1942-), 이동엽(李東燁, 1946-2013), 허황(許榥, 1946-)이다. 데이트 갤러리에서 열리는 이번 전시회 「흰빛의 마음: 한국 모더니즘 회화의 재구성」에서는 「흰색(Hinsek) 展」에 참여했던 권영우, 이동엽 선생의 작품이 출품된다. 아울러 윤명로(尹明老, 1936-), 최명영(崔明永, 1941-), 심문섭(沈文燮, 1943-), 최병소(崔秉昭, 1943-), 이교준(李敎俊, 1955-), 박종규(朴鍾圭, 1966-), 윤상렬(尹祥烈, 1970-) 작가가 참여한다.

권영우 작가는 생전에 “조물주는 만물을 만들었지만 이름은 붙이지 않았습니다. 자연 그 자체가 곧 추상인 셈이지요. 저는 단지 자연의 여러 현상에서 발견하고, 선택하고, 이를 다시 고치고 보탤 뿐입니다.”라고 발언했다. 단지 손톱 등으로 찢고 뚫고 붙일 뿐이었다. 가공되지 않은 한지는 일상의 반복적 행위를 통해 예술의 근원성을 드러낸다.

이동엽 작가는 단색화 제1세대 작가에 속한다. 색과 형태의 지극한 절제를 통해 고유한 아름다움의 형식을 확립했다. 작가의 그림에서 두드러지는 여백의 공간은, 보는 이로 하여금 극도의 비움을 통해 마음의 안정을 느끼게 해주며, 안정이 주는 고요한 시각적 서사는 일상의 위대함을 느끼게 해준다. 작가는 동양화에 사용되는 넓은 붓을 사용하여 흰색 바탕 위에 흰색과 잿빛의 선을 반복하여 마음의 근원을 찾아간다. 작가의 거의 모든 작품에서는 흰색의 소탈함을 빌어 자연의 본원을 제시한다는 작가의 지향성이 담겨있다.

윤명로 작가는 서구인의 붓 터치보다 동아시아의 준법을 모더니티 회화로 변용했다. 동아시아의 준법은 심화(心畵)를 체현시키기 위한 기본요소이자 그 자체로 간단없는 수양이다. 윤명로 작가는 1960년대 앵포르멜 미술을 받아들이다 극적인 변혁을 꾀했다. 1970년대 「균열」 연작, 1980년대 「얼레짓」 연작, 1990년대 「익명의 땅」 연작, 2000년대 「겸재예찬」, 2010년대 「바람 부는 날」 등 10년 주기로 전혀 다른 내용과 형상의 회화연작을 제시하면서 놀라운 예술적 성과를 이루어냈다. 그러나 대자연 속에서 인간 삶의 진실한 의미를 발견하고자 했던 윤명로 작가의 모든 회화세계 속에서 일관되게 유지되는 원칙이 있다. 윤명로 작가에게, 대자연은 ‘나’라는 의식의 거대하고도 오묘한 성찰의 장(場)이며, ‘나’는 ‘나’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그곳으로부터 벗어날 수도 없거니와 그곳은 ‘나’를 내성(內聖)으로 안내하는 연원이다.

최명영 작가 역시 단색화 제1세대의 대표적 작가이다. 작가가 평생 일관되게 추진했던 작업은 회화가 지니는 철학적 본질인 ‘평면조건(conditional planes)’을 얻어가는 과정에 있다. 작가는 “홍익대 미대 재학 당시 이규상 교수의 ‘평면에 대한 작가 의지의 중요성’, 그 후 김환기 교수의 ‘작업에 임하는 지속적인 수행 자세’에 대한 교훈적 지적의 영향이 크다. 나의 인성(人性) 특성상 사상의 근본을 많이 생각하는 성향인데 이것이 회화의 본질에 보다 관심을 갖게 된 것으로 생각된다.”라고 발언한다. 최명영 작가는 근본, 본질을 추구하는 바에서 모더니티의 추동력인 본질주의의 요소를 살필 수 있다. 그리고 인성과 예술이 서로 둘이 아니라는 관점에서 동아시아 심화(心畫)로서의 전통적 사유와도 길을 함께한다.

심문섭 작가는 1970년대 초반부터 지금까지 ‘현전’, ‘토상’, ‘목신’을 거쳐 ‘메타포’, ‘제시’ 연작을 통해 작품의 소재가 되는 나무ㆍ돌ㆍ흙ㆍ철 등의 물질에서 비물질적 정신성을 드러내려는 의지를 표명해왔다. 그러나 프랑스에 체류하면서 물리적 조건의 한계를 넘고자 회화에 몰두하기 시작했다. 흰색 유성 물감의 바탕에 푸른 수성 물감을 반복적으로 입혀가는 과정은 일상의 모든 순간을 경(敬)으로 대하는 수행자의 자세를 현현하는 것이거니와 파도를 연상시키는 푸름은 자연과 내가 하나라는 사유가 담겨있다. 하나 됨(oneness)은 전체(whole)라는 개념을 지향하며 신성(holy)과도 같은 어원을 공유한다.

최병소 작가는 근세와 근대를 가르는 상징적 매체 신문지를 흑연과 검은 볼펜으로 칠해서 신문이라는 물질을 기적적으로 형질변경시킨다. 온갖 정보로 가득한 신문지의 시끄러움은 그것은 적막무짐(寂寞無朕)한 고요로 침잠된다. 적막한 그림자와 같은 작가의 작품은 새로운 가능성을 일으키는 전기(轉起, arising)의 세계이기도 하다. 과잉 정보적 세계(world as abundant)가 의미로 충만한 계기(informative moment)로 역전되는 현상은 세상에서 일어나지 않는다. 오로지 최병소의 예술 속에서 드러나기 때문이다.

이교준(李敎俊, 1955-) 작가는 기하학적 추상회화에 천착해왔다. 1970년대부터 아방가르드 정신을 추구했으며, 합판, 금속판과 같은 산업자재의 물성을 극한으로 추구했다. 이후 작가는 아크릴 물감과 유화 등 전통적 회화 창작 방법으로 수평 이미지와 수직 이미지를 그렸다. 수평 이미지와 수직 이미지가 교차하여 분할된 사각형은 절대 공간(absolute space)을 상징한다. 이교준의 절대 공간은 시간과 질료를 넘어서는 물리적 본원이거니와 시공간, 물질을 넘는 정신을 상징하며 소이연(所以然)으로서의 세계를 다루고 있다.

박종규 작가는 거듭되는 변증법 속에서 가장 질서 있는 세계를 구축해낸다. 첫째, 미디어 매체와 회화와의 변증법적 투쟁이 그 시작이다. 회화는 인류 최초의 마술이었다. 마술은 사람들을 현실과 구분할 수 없게 했다. 마술을 비판하기 위해서 문자를 개발했다. 문자는 사람에게 이성적 사고를 선사했다. 문자는 컴퓨터로 진화했다. 따라서 컴퓨터 이미지와 회화는 본질에서 다르다. 작가는 이를 극적으로 통섭한다. 둘째, 컴퓨터 이미지 중에서도 노이즈 이미지를 사용한다. 노이즈 이미지를 확대하면 정상적 이미지의 확대 장면과 차이가 없다. 보기 좋은 것과 보기 싫은 것의 본원은 같다는 역설을 회화 작업에 구축한다. 박종규 작가는 위계적 사고, 불평등, 소외의 문제를 뉴페인팅의 방법론으로 극복하고 있으며, 우리 시대의 정신은 다층적 실체(multi-layered reality)에서 비롯된다고 진단한다.

윤상렬 작가는 종이와 필름 위를 샤프심으로 그어 수많은 마루(crest)와 골(trough)이 경이적인 규칙을 만든다. 그 위에 컴퓨터 프로그래밍으로 프린터가 선을 바른다. 가령, 0.3mm, 혹은 0.05mm의 선을 만들고, 그리고 그 선에 블랙 93%, 혹은 브라운 77% 등의 농담을 주어 수많은 선과 색채를 배합하여 마루와 골에 신비한 깊이의 심연을 만든다. 이 색채의 규칙적인 높낮이에서 말할 수 없는 경이가 펼쳐진다. 본질적으로 지대한 노동과 컴퓨터가 함께 연출한 드로잉이지만, 어떤 회화보다 깊이 있는 회화성을 구현한다.

우리는 앞서 ‘소(素)’의 역사적 용례를 파악하면서, ‘소(素)’ 속에는 1) 가공되지 않은 천연의 고귀함, 2) 무한한 가능성, 3) 근원적인 것, 4) 진정성, 5) 세속을 떠나 소탈한 것, 6) 평소 일상 속에 숨어있는 진실, 7) 비어있음, 8) 미리 준비해두는 정신, 9) 옛날이나 지금이나 변함없이 일관된 정취 등 대략 아홉 가지 의미가 내재하여 있음을 보았다. 모든 현상을 소연(所然)이라고 한다. 현상 너머에 있는 의미, 현상의 내재적 원인을 소이연(所以然)이라고 한다. 그렇다면 ‘소(素)’는 물질적 현상으로서 드러나는 소연의 화이트(white)를 가능하게 하는 소이연이다. 우리가 만나는 아홉 작가의 화이트 속에 내재된 ‘소(素)’의 의미를 읽어야 이번 전시의 진정한 감상이 이루어진다. 나아가 우리나라 모더니즘 회화는 장구한 시간 동안 축적되어온 우리의 예술 인식의 발로라는 점도 기억해야 한다.



이진명(李振銘), 미술비평ㆍ미학ㆍ동양학, 2022년 2월 4일


What is the Mind of White?
: Reconstitution of Korean Modernist Painting

Ⅰ. Conditions of modernity

The title of this exhibition has multiple meanings that are difficult to define. The theme is denominated as "white" with an English word. However, it is juxtaposed with a word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素." The word "white" refers to a perceptual situation of "being white" but there are no additional meanings. Nonetheless, the letter "素" is widely used embracing a range of meanings such as "by nature," "base," "something that is not adorned or added," "heartful dedication," "white," "simple" and "to keep one's place." This word "white" can possibly define the world of Robert Ryman (1930-2019), but it is challenging to define the worlds of each Korean artist. It is because the world of "white" for Korean modernist artists has the connotation which is far multi-faceted and flexible, beyond the mere perception as colors and properties of matter.
Secondly, it is imperative to clarify the meaning of modernism. According to the definition of "Oxford English Dictionary Online," the first meaning of "modern" refers to “Of or pertaining to the present or recent times, as distinguished from the remote past; pertaining to or originating in the current age or period.” (2.a.) The second meaning is applied significance and is defined as "Of movement in art and architecture, or the works produced by such a movement: characterized by a departure from or a repudiation of accepted to traditional styles and value.” (2.h.). As is widely known, the term "modern" originated from Latin "modo" used in the 6th century and it means "just now." This word was combined with "hodiernus" meaning "of today" and became "modernus" until it transformed into "modern" that we use in a natural and usual manner today. For this reason, "modern" is a term from East Asia embracing both the modern times referring to the 17th and the 18th centuries or the contemporary times referring to the 20th and the 21st centuries. (The concept "postmodern" is sometimes defined as a failed concept depending on each scholar). However, when the term "contemporary" meaning "occurring at the same time" is combined with art, it tends to be used to emphasize the radical character of the avant-garde or the most immediate time close to the present, in other words, the updated time. The philosophical ground to distinguish between contemporary art and modernity art is ambiguous though. Regarding this, it will be meaningful to hear what the art philosopher Peter Osborne (1958 - ) comments.

“It is the historical movement of conceptual art from the idea of an absolute antiaesthetic to the recognition of its own inevitable pictorialism that makes it a privileged mediating form; that makes it, in fact, the art in relation to which contestation over the meanings and possibilities of contemporary art is to be fought out.……In this respect, ‘post-conceptual art’ is not the name for a particular type of art, so much as the historical-ontological condition for the production of contemporary art in general.”

In the text, Peter Osborne explains the conceptual art, furthermore, post-conceptual art. He states that both arts are a phenomenon that appeared as an objection to the pictorialism and is nothing but a concept indicating the historical condition for production of contemporary art, and it is not any kind of concept that pursue any aesthetical forms or philosophical distinction.
There is another person who proposed an important perspective. He is a Nigerian curator (Okwui Enwezor, 1963-2019). According to him, European modernity is referred to as Supermodernity (emphasis on excellence), Asian modernity as Andromodernity (emphasis on patriarchal orders), Islamic modernity as Speciousmodernity (emphasis on specious policies) and African modernity as Aftermodernity (emphasis on the subsequent position). It is worth considering the branding of which the modernity condition from each cultural area has been established. The more Enwezor puts emphasis on the regional differences of modernity, the more the essence of modernity is invariable. What is still predominant in culture is the fact that all kinds of concepts of prefixes such as post-, alter-, and re- are encompassed while limiting them under the subordinate concept. Modernism has not ended yet even from a philosophical viewpoint. It has just changed the outfit called historial and regional conditions.
The same core of the issue can be found from the statement made by Nicolas Bourriaud (1965- ) who proposed gave the greatest influence on modernism and modernity with the most powerful insight.

Altermodernism can be defined as that moment when it become possible for us to produce something that made sense starting from an assumed heterochrony, that is, from a vision of human history as constituted by multiple temporalities, disdaining nostalgia for the avant-garde and indeed for any era-a positive vision of chaos and complexity. It is neither a petrified kind of time advancing in loop (postmodernism) nor linear vision of history (modernism), but a positive experience of disorientation through an art-form exploring all dimensions of the present, tracing lines in all directions of the time and space.”

With respect to Altermodernism, Nicolas Bourriaud does not specify it as a sort of attribute or particularity. While explaining Altermodernism, his interpretation reaches only the concept of modernism that affirms the temporality and internal development scheme as well as the concept of which postmodernism that was born by denying it simply circulates in loop as a historic sign that fails to clearly manifest its identity somewhere between the two. Many scholars make an effort to overcome modernity by adding all types of prefixes and distinguish the art phenomena and the subsequent effects in a philosophical manner. However, despite the increasing efforts, only the formidable spirit of modernity stands out. Then what is the essence of modernity?
In a word, modernity locks the value of other-worldly values in the this-worldly perspectives. While rejecting the supernatural world and God's death, it secularizes metaphysical values. The American newspaper The Chronicle of Higher Education defines modernism in a simple way to understand as follows: “If anything characterizes modernity, it is a loss of faith in transcendence, in a reality that encompasses but surpass our quotidian affairs.” What makes the view of the world prior to modernity the greatest was the fact it succeeded in postulating "a most perfect being (Ens Perfectissimum)" and formed the notion of which the universe was established in hierarchical stages.
The history of modern science is a journey of persuasion where it possesses more trustworthy results of the substance than the Holy Scriptures does. Science is same as modern faith. Modern faith prescribed only explainable world as reality or substance while disregarding the system of the vertical dimension such as the systems deeply appreciated like values, meaning, purposes, quality, the invisible and superiors. Ultimately, modern face is no different from secularization of metaphysics. In conclusion, this modernity is an on-going project. Even though the appearance of the form looks different because of the changes of historical conditions over time, the spirit of modernity is fundamentally invariable and continues to persist.
Then how had modern change transform the art world? The values pursued by modernist art consists in pure blood customs that pays attention to legitimacy. This legitimacy is mainly based on the primogeniture succession in genealogy. The principle and grounds for legitimacy with respect to primogeniture succession are highly philosophical. Modernist art sees the world in accordance with focus on essentialism. Essentialism is faith in which painting is obliged to correspond to the essence called "flatness." On the contrary, sculpture is required to move towards the final answer of essence called "materiality." Modernist art created legitimacy of pure blood customs by essentialism as well as the concomitant mythological value of primogeniture succession. Unlike modernism, modernist art did not give up the vertical values. Nevertheless, there is something that precedes the task of demonstrating such as inquiry into the essence and features of such values. It is to explore first the background of the history of thought to see why such values have been formed and maintained. Here,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an important statement of Michel Foucault (1926-1984).

The Proper task of a history of thought is: to define the conditions in which human beings ‘problematize' what they are, what they do, and the world in which they live.”

In the text, Foucault declares that thought is a task of defining the conditions where human beings live. Modernity also needs to ask first about the conditions of the world where modernity took place and the conditions that are still valid. The article of The Chronicle of Higher Education published in 1978 defines modernity as "secularization of metaphysics." Metaphysics is a domain of discipline that infers the primary cause of the world. Ultimately, it pursues deity. However, when it transferred the task of defining reality to science, to clarify the essence of the world, it was required to get on the shoulders of a giant science. When art received faith of modernity, art ought to recognize the world in accordance with focus on essentialism. The term focus we know does not only mean focus itself. The Latin etymology of "focus" comes from "domestic hearth." However, the owner of the hearth is not mother but father.
Most of us must have been interested in observing fire in the house in our childhood. It can be a fireplace or a brazier or a cooking fireplace. Regardless of what it is, fire in our childhood is considered a dream itself. It was your father who prevented you from going closer to the fire like moths. Whenever you wanted to put your hand in the fire, your father hit you on the hand with a stick. When you ran towards the fire, your father grabbed you in the neck. Later when you grew up, you must have stolen your father's match to make a fire outdoors. It is because theft of fire is compensation for a frustrated dream. All of us must have compared the skill of dealing with fire with that of our father. However, Prometheus stole fire from his father Zeus to compare his ability with his father's omnipotence but ends up in punishment. The etymological root of Prometheus is composed of "pro" meaning "first" or "before" and "mêtis" meaning "to think." Therefore, Prometheus who stole the fire is an artist. Artist bets on his/her life and death for something prioritized. However, it is impossible to win the first ancestor and father, Zeus. He can only succeed the legacy called legitimacy and conditions as a legitimate son.
Modernist painting starts with Paul Cézanne (1839-1906), the first discoverer of the importance of flatness for the first time. For this reason, we can grant qualifications of Zeus for Cézanne. We see Gogh after Cézanne, and Picasso after Gogh. We see Paul Jackson Pollock after Picasso and Barnett Newman and Mark Rothko after Pollock. Even though we see numberless artists, we cannot help but recognize that there is no Prometheus who was born without Zeus. Either Andy Warhol or Gerhard Richter, no artist can exist without his/her father. In addition, the object we want to know through this is not the origin or aspects of Western modernity but our own modernity.
The aforementioned Nigerian curator Okwui Enwezor named modernity of East Asia as "Andromodernity" while providing a respective brand for modernity of each continent. The prefix "andro-" stems from a Greek noun "anēr (ἀνήρ)" meaning "male." Aner means both an adult man and a husband. Enwezor emphasized the fact that modernity is the product of patriarchal orders by nature and such patriarchal orders had deepened and developed, in particular, in East Asia.

Ⅱ. Perception of art in East Asia and modernity as its epoch-making stance

Xiang Mu (?-?) was born in the mid-16th century in the Ming Dynasty. In his book Shufayayan, Xiang Mu explains how a person's writing style can lead to division of beauty/plainness and accomplishment/failure in the calligraphic figuration and tried a variety of critical debates focused on equilibrium and lack of performance & limited insight according to the division. The first Chapter of Shufayayan composed of 18 Chapters is called Shotong. Here, "Tong" signifies legitimate succession. The most important agenda in East Asian culture is the matter of system. Legitimacy (Jing Tong) is present in succession to the throne and the State while Tao Tong is present in Confucian Tao Studies. In the writing, there is Wen Tong. In terms of art, Shotong is present in calligraphy and Zhengpailun, in painting.
Then to what is the theme of system, which is considered important in East Asia related? The clue of this issue can be found from of Shufayayan written by Xiang Mu. He discusses the idea of "Zhengzong" in the Chapter of . Zheng zong means the supreme state of art. To give an example of zhengzong, Xiang Mu highlights the calligraphy of Wang Xizhi (307-365). According to him, zhengzong means fulfillment of absolute perfection and Wang Xizhi attained the level. As for the concrete proof, he mentions three main points. Firstly, Wang Xizhi accomplished "Hui Gu Tong Jin." In other words, "By encompassing all writings from the past, he integrates them into one." Secondly, Wang reached the level of "Bu Ji Bu Li." In other words, "it is not aggressive nor disordered." This means that harmony is achieved. Thirdly, Wang acquired "Ji Wang Kai Lai." In other words, "By succeeding the past, the future is opened up." As central concepts of the debate, Xiang Mu brings the term "Ji Da Cheng" used when Mencius was evaluating Confucius and "Shizhong(時中)," which is the key concept of Zhongyong (Doctrine of the Mean) as well as the part stated by Zhu Xi, "Inherit the ancient sage men to open up the learning of future." For this reason, Xiang Mu referred to zhengzong as art that considers the changing waves of the present to open up the future by making consilience of all cultural norms and models of the past.
This kind of perception of Art in East Asia has a longer history. For instance, Jiang Kui (1155-1221), a poet from the Northern Song Dynasty expresses that the utmost level of art is always connected to the spirit. Sheng Ximing (1281-1347), a calligrapher from the Yuan Dynasty defined calligraphy as “an art of which the energy of virtue accumulated in the mind is expressed by the calligraphic style through the artist's hand, because it is the manifestation of traces of his/her moving mind." Liu Xizai (1813-1881) from the Qing Dynasty mentioned that "art is the manifestation of Tao" and defined the true meaning of art relating to Tao. Furthermore, he states, "calligraphy is the study of mind. When you move letters, you move your will." Thus, he tries to make clear that the deepened level of art comes from the study of mind. The highest level of concept when it comes to the perception of art in East Asia consists in Tao and mind. Even though numerous people have spoken about Tao and mind, they fail to specify what they precisely mean. East Asia has perceived art in relation to the following three dimensions:

The human mind is precarious, and Tao's mind is fragile. Therefore, one can achieve balance only with precision and consistency.

The black kite flies high to reach the sky, while the fish swims jumping in the pond. Oh, happy and peaceful man of virtue, this is just ideal to raise talented people!

Confucius once said when he was by the river: It is like flowing! It keeps flowing without stopping!

The first text is from of Shujing(Book of Documents) that describes the law of mind that Emperor Yao transferred to Emperor Shun. The human mind is easily tempted by materials and tends to follow the fragile mind. It is necessary to keep balance (middle) of Tao's mind by holding the mind in a correct way. Art in East Asia bloomed in the journey of acquiring Tao's mind that is not faltered by external materials. The second text is a poem called included in Shujing. It symbolizes the truth of the universe. The black kite is flying in the sky and the fish swim in harmony. It is because the kite and fish are taking their own way given to them from the birth. Humans should also take the given way and this way is the very process of seeking Tao's mind. The third text is from the Chapter of Lunyu (Analects of Confucius). There is a scene where Confucius sighs while looking at the flowing stream by the river. No one knows who makes the stream flow continuously, but it never stops. If Cheng (sincerity) is in nature and the universe, the human essence must have it as well. Artists from East Asia have carried out creative work always keeping these three points in mind.

In the same context, Zhang Huaiguan (?-?) from the Tang Dynasty stated, "The one who understands the depth of calligraphy sees only the spirit and energy and not the form of letters." On the other hand, Wang Xizhi from the Eastern Jin Dynasty commented, "Master Tiantai Zizhen tole me this way. 'No matter how much you are whole-hearted, you failed to reach the supreme culmination. The energy of letters must reach Tao and this is the reason of the universe." The discussion between them is nothing but an extension of the concept of "painting of mind" that is in line with what Yang Xiong (53 BC - 18 AD) from the Han Dynasty said, "Calligraphy is the painting of your mind."

Since words can't reach the mind, and writing can't reach the words, it's difficult. Only the sage can realize the depth of the words and obtain the quintessence of writing.
It is always bright and clear as the shiny sun and the limpid river, so it fails to stop the sage. What words act is making people compete with each other and twisting the selfish message in mind to create tempestuous fury to others. There is nothing like writing in the world in that it governs all affairs of the world, it records the old things, it clearly reveals the old blurry things of the past and it delivers things that are impervious to reason to the world. Therefore, words are the voice of the mind and writing is the painting of the mind. When sound and painting are expressed outside, this reveals the sage and the ordinary. It is because sound and painting are able to move emotions of the sage and the ordinary!

In the text, Yang Xiong defines words as the sound of mind and writing as the painting of mind. Ultimately, depending on the level of knowledge of the sage and the ordinary, the appropriateness of expressing emotions, judgment, and the level of virtuous character, it leads to the conclusion that "writing is the same as the writer." Writing and painting are expression of the mind that precisely reflects the state of the person. Therefore, art in East Asia is no different from an indicator to judge the person's character itself. In other words, contemplation of art in East Asia required an understanding of the fundamental principle hidden between the lines, that is, the world of principles of reasoning as the source of duty, rather than the world of reason, which is concretely revealed as a form. This perception of art in East Asia was also reflected in the Joseon Dynasty, and precisely accords with the perception of art of scholars such as Toegye Lee Hwang (1501-1570), Ganjae Lee Deok-hong (1541-1596), and Daesan Lee Sang-jeong (1711- 1781).

Considering the description above, we can deduce that art in East Asia has developed in three main pillars of thought. Firstly, thought of art in East Asia placed emphasis on establishment of system. In other words, it thought highly of fundamental standards (zhengzong) such as Calligraphy orthodox theory (Shutong) and the correct status of artists (Zhengpai). The qualification of the correct status of artists is bestowed to artists who inherits the past to open up the future by integration of the past values with the new ones. Secondly, art in East Asia is art of study of mind. Art of study of mind is art as a process of finding out Tao or way (duty). It is mainly related to the 16-character method of mind that was communicated among Yao Shun. In addition, it is related to the process of embodying truth as described in "Timely Insight" from the Doctrine of the Mean (Zhongyong), Tao-based harmony from the Classic of Poetry (Shijing) and constant flowing told by Confucius. Thirdly, writing or painting must be illustration of the mind. A painting is a mirror that manifests every inch of levels, judgment, knowledge, and character of the person who painted it. Therefore, a work of painting is the person himself/herself. These three central thoughts are in line with the vision required by Western modernity such as consciousness of system, philosophical nature of essentialism that seeks flatness, and the argument of which style is the person himself/herself. Considering this, Korean modernist painting is not a mere transplantation of Western ideology, but a modernization of the art perception that has been deeply embodies in us over the vast reaches of time. From this point of view, Choi Myoungyoung (1941- ) proposes an insightful vision.

American minimalism puts emphasis on directionality, that is, the attitude of which an artist expresses himself/herself towards the world. Monoha of Japan is what corresponds the relation between things, and furthermore, the relation between me and things. Korean Dansaekhwa (monochrome painting) works are created through insight into processes. The process is both thought and self-cultivation. It is an never-ending project. It is a fierce process trying to match oneself to the canvas in order to obtain the truth that a person and a painting are not two but one. In this process, both mind and Tao (duty/way) are conceived.

Choi Myoungyoung clearly summarizes the essential differences placed between the lines of flat material paintings that the United States, Japan, and Korea share in common. According to him, the essential difference comes from the discrepancy of mentality. In the United States, minimalism art is believed to have been emerged in 1959. However, the exhibition “Primary Structures: Younger American and British Sculpture” held at the Jewish Museum in New York in 1966 served as a decisive signal of minimalism that would penetrate into the history of art for the coming years.
This exhibition was participated by many artists such as Judy Chicago (1939- ), Peter Forakis (1927-2009), Dan Flavin (1933-1996), Ellsworth Kelly (1923-2015), Richard Van Buren (1937-), Isaac Witkin (1936-2006), Carl Andre (1935- ), Michael Bolus (1934-2013), Donald Judd (1928-1994) and Ronald Bladen (1918-1988). Regarding this exhibition, art critic Hilton Kramer (1928-2012) contributed to the New York Times more than three times, saying, “A new aesthetic era is upon us.” Kynaston McShine (1935-2018) who is considered one of America's most renowned curators, evaluated this exhibition, stating, "(The galleries had) never looked like that before." Meyer Schapiro (1904-1996), the greatest art historian of the time, also participated as a curator for this exhibition. In light of this, we understand that minimalism was an organized project that had been formed to create a new aesthetics by finding the primary structures and completely separating from the previous streams.
Looking at the repeatedly mass-produced minimalist works in this exhibition, theorist and artist Robert Morris (1931-2018) interprets the characteristics that distinguish such minimalist works from other works as "seriality" inherent to minimalism. For him, the use of repetitive patterns and the adoption of a process system to mass-produce works is the very seriality. Donald Judd, who lead the mainstream in the art world around 1966, called the characteristics of his art world "a serial attitude. As the artist Choi Youngmyoung stated, the essence of minimalism is related to the attitude towards the world. This proves his insight.
Mono-ha (もの派) of Japan reaches a turning point in the exhibition "Voices of Emerging Artists: From the Realm of Non-Art" held in February of 1970. This exhibition consisted of outdoor installations and installation works inside the building, and it showed differentiation in the sense that it placed on the floor unprocessed natural materials and industrial materials such as canvas, charcoal, cotton, dust, washi (traditional Japanese paper), oil, rope, stones, wood chips, and glass plates, light bulbs, plastics, rubber, steel plates, synthetic cushions and wires. This way, it was based on interactive relationship with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where the exhibition was being held. This early exhibition was produced again in 2013 at Blum and Poe of Los Angeles, USA, under the title of "Requiem for the Sun: The Art of Mono-ha." The title proclaims the death of the sun, which is a symbol of perpetuity and permanence of an object, in order to symbolically expresses the disconnection from permanence implied in the object. It was the spirit of resistance with an ambiguous gesture of paying attention to the historical moment from the artists' own real moment regarding the internal and external realities surrounding the artists of the time, such as the U.S.-Japan Security Treaty, the anti-Vietnam war movement, and the oil crisis.
Mika Yoshitake discusses the differences between Mono-ha and other art movements by making an analsysis of Mono-ha. The first analysis consists in the fact that Mono-ha separated from the traditional Japanese thought of returning to nature and it did not define it as a movement, unlike Arte Povera or minimalism. According to the second analysis, Mono-ha is a name given as a result of the retrospective synthesis of sporadic phenomena occurred by critics around 1973. According to Yoshitake's analysis results, Mono-ha is even different from Gutai, an action-based art association founded by Yoshihara Jiro (1905-1972) in 1950s after the war. She adds that Gutai identified tangible sensuous materials (busshitsu) with human spirit. On the contrary, her analysis shows that Mono-ha expresses the sensibility, in a spoken language, that is form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materials. For example, it was intended to express the senses such as heart-stopping (どきっと), spine-chilling (ぞくっと) and thrilling (しびれる)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bjects and the environment.
Mika Yoshitake also argues that the artist Lee Ufan (1936-), the leader of Mono-ha, also drew the concept of the free state of Sekine Nobuo (1942-2019). The free state is the most important concept since it is the phase revealing the essential state of the object. However, the meaning of mono (もの) does not lie in the form of the object, but in the structure that reveals its existence. For this reason, mono (もの) is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a material (物). Mika Yoshitake emphasizes that Mono is a phase and an intermediary. Mono establishes a sort of passage between the viewer and the object.Therefore, the concept is thoroughly established as a relationship between an environment and an object. Mono-ha is truly exerting vitality in relational aesthetics. This way, the second assumption of Choi Myoungyoung is proved to be true as well. Then Dansaekhwa (monochrome painting) in Korea would be establishing a debate different from this.
As mentioned before, Dansaekhwa is a synthesis of modernity and traditional art perception of East Asian. While modernist painting is the history of the process of asking the essence of painting, the art recognition in East Asia was born from philosophical thought in pursuit of the essence of mind. Then, the history of modernist painting in Korea can be defined as the history that has been firmly moving toward the creative establishment of a modern form of the study of mind. The mind signifies Tao's mind, that is, the conviction of moral self-determination, and art was able to have the meaning only as a verification to this important problem of mind. We must keep this in mind again. For 2,500 years, we have been keeping a long history of trying to externalize the truth of the 16-character method of study of mind as an art form, and that history is still ongoing. Therefore, nowhere in the world has the precedent of advanced philosophy of modernity except in Korea. Modernity demands discontinuity from tradition. However, the destiny of modernity and traditional culture that fail to cross by nautre achieves harmony in Korea, in an exquisite manner. For example, "macaroni" from the poem of the modernity poet Kim Suyoung (1921-1968) "The difficulty of Confucius' life" is exquisitely harmonized with "If you realize Tao in the morning, no regret will be left even if you die in the evening." In the paintings of Park Sookeun (1914-1965), the suffering of the mother (female) meets the granite, which is the matière of solid masculinity. The history of calligraphy accumulated for thousands of years in the paintings of Lee Ungno (1904-1989) attains the culmination of modernity by encountering the aesthetics of formalism. A mysterious power is hidden in Korean modernity.

Ⅲ. The discriminative meaning between "White" and "素" and the artists who have embodied it

Why did we choose to use white? However, a single word "white" fails to embrace all the expressions of "素." As mentioned before, the meaning of "素" includes by nature," "base," "something that is not adorned or added," "heartful dedication," "white," "simple" and "to keep one's place."
Shuo Wen Jie Zi compiled by Xu Shen (58?-147?) from the Eastern Han Dynasty describes that the letter "素" means white silk, and the letter is composed of 糸 meaning "thin threads" and ? meaning "hanging down." it has luster. All chinese characters belonging to the radical "糸" have the meaning of "素." Xu Shen explains that the origin of "素" is in white silk. It is silk without any processed state. Therefore, "素" to refer to a state of invaluable and noble fabrics without any decoration. Zheng Xuan (127-200), a representative Confucian scholar of the Eastern Han Dynasty, interprets Miscellaneous Records (Zaji) of the Book of Rites (Liji) as follows:

"素" is unprocessed silk. "素" is used to refer to unprocessed silk. This expressen is used to compare with "練" meaning the state where silk has been boiled and arranged. It is called "素" since all colors are white. Since white accepts other colors, the base of all things is called "素." For example, under the letter "殼," one theory says that it means the base. It is the base where no design is added yet. Therefore, we can hear the expression such as "simple meal 素食" or "a person with virtues of a king 素王." In Mao Chuan, from Shijing was interpreted as "素 means emptiness.

Xu Shen and Zheng Xuan define the preciousness of unprocessed nature as "素." In particular, Zheng Xuan explains that it is the base of all things. "Simple meal 素食" is a simple yet healthy meal, and "a person with virtues of a king 素王" refers to a person who is not a king now, but will become a king some day because he has the virtues of a king. Therefore, "素" contains the meaning of infinite possibilities that will occur in the future compared to the current situation. Our ancestors praised the world of "素" that has not yet been reached yet, instead of the world of 練 based on the polished or refined state. "素" is inline with “空” meaning emptiness. It refers to a state embracing more possibilities by emptying.
The letter "素" also appears in the Chapter "Xuewen" of Heguanzi written by Heguanzi of Chu of Zhou Dynasty. Heguanzi states that "Morality is the base of behaviors." "素" signifies the root, namely, the essence of a thing or a state. Han Feizi includes a sentence saying, "When the king discards what he likes and dislikes, the liege will show his authenticity. When the liege shows his authenticity, the king will achieve the plain state." Here, "素" means the mind of origin, namely, authenticity. In Chapter 19 of Laozi, there is a sentence saying, "Look for simple things and reduce selfishness and greed." Here, "素" refers to simple and plain things. Huainanzi includes a statement saying, "The mind is gentle, so the person does not behave to deceive others. While working, the person is simple and unaffected." This also means "plain" and "simple." On the sixth day of Sexagenary cycle of year 28 of Duke Xi of Lu from Zuo Zhuan, we can see the description saying "The soldiers of Chu had enough food as usual, so we cannot say that they are tired." Here, "素" means "as usual." It is the time that is repeated in everyday life. In of Classic of Poetry (Shijing), there is a sentence describing "That man of virtue does not eat when he does not work." Here, "素" means "empty." In addition, Shiji also contains the letter "素" meaning "beforehand" or "in advance." It says, "If resources are not equipped in advance, it is impossible to handle soldiers." Lastly, Dongpo Su Shi (1037-1101) sings in the poem "Ji You Lu Shan" (Writing after traveling to Mt. Lu) as follows: The green mountain is different from old nostalgic emotions, and it is not easy to climb it because it is too steep." The word "素" appeared in this poem means old nostalgic emotions. In summary, "素" refers to 1) the unprocessed and natural preciousness, 2) infinite possibilities, 3) fundamental things, 4) authenticity, 5) the simple state away from the worldly environs, 6) truth hidden in everyday life, 7) Emptiness, 8) the spirit of preparedness, 9) consistent mood regardless of time. Therefore, we must acknowledge that white has been loved by us throughout the long history because the philosophy comes from this origin.
This exhibition is characterized by aesthetics and spirit rearranged from an existential perspective, based on the exhibition “Five Korean Artists: Five White Exhibitions,” the so-called “White (Hinsek) Exhibition” held at the Tokyo Gallery in Japan in 1975. During this exhibition, art critic Lee Il (1932-1997) stated, “In a word, white color is the open stage of the creation of all the potentialities that embody for themselves…. … For us artists, the white monochrome is rather a presentation of a vision that accepts the world. Lee Il also interprets white color as the foundation of all possibilities and new creations. In addition, he regards white as the origin of a holistic vision that embraces the world. The title of this exhibition, “Hinsek,” was named by Lee Ufan. The five artists who participated in this exhibition are the following: Kwon Youngwoo (1926-2013), Park Seobo (1931- ), Seo Seungwon (1942- ), Lee Dongyeop (1946-2013), and Heo Hwang (1946- ). The works of Kwon Youngwoo and Lee Dongyeop, who participated in the exhibition "Hinsek" will be displayed in this exhibition entitled “What is the Mind of White?: Reconstitution of Korean Modernist Painting” held at the Date Gallery. Other artists participating in the exhibition consist of Yoon Myeongro (1936- ), Choi Myoungyoung (1941- ), Shim Moonseup (1943- ), Choi Byungso (1943- ), Lee Kyojun (1955- ), Park Jongkyu (1966- ), and Yoon Sangyuel (1970- ). Kwon Youngwoo once stated, “The Creator made all things without giving them names. Nature itself is an abstraction. I just discover, select, correct and add to a variety of phenomena of nature." All he does was tearing, making holes and pasting with fingernails. Unprocessed Hanji (traditional Korean paper) reveals the origin of art through repetitive daily actions.
Lee Dongyeup belongs to the first generation of Dansaekhwa. Through extreme restraint of colors and forms, he established a form of unique beauty. The blank space that stands out in the artist's paintings brings peace of mind to the viewers through the task of extreme emptiness, and the placid visual narrative provided by stability makes the viewers sense the greatness of everyday life. The artist seeks the source of the mind by repeating white and gray lines on a white background using wide brushes used for oriental paintings. Most of the artist's works contain the artist's directionality intending to present the origin of nature by adopting the simplicity of white.
Yoon Myeongro applied East Asian standards transforming them into modernity paintings rather than Western painting style. When it comes to East Asian standards of painting, they refer to basic elements to embody the painting of mind and constant self-discipline or self-cultivation inherent in them. Yoon Myeungro was practicing Informalism in the 1060s but he tried drastic innovation in the process. He has been surprising the art world through his remarkable artistic achievements by presenting serial paintings with completely different contents and forms on a 10-year cycle. For instance, his innovative works include the serial work "Crack" of the 1970s, the serial work "Eolejit" or "Kite spooling" of the 1980s, the serial work "The anonymous land" of the 1990s, the serial work "Homage to Gyeom Jae" of the 2000s and the serial work "Windy day" of the 2010s. However, in his art world where the artist continuously tried to find the true meaning of a human life in the Mother Nature, there is one principle that maintains with consistency. For him, Mother is not only a stage of immense and mysterious of introspection of consciousness called "myself" but also a state where "me" cannot escape from the place closely related to "myself" and an origin that leads "me" to the inner holiness.
Choi Myoungyoung is also one of the representative artists of the first generation of Dansaekhwa. The works the artist has pursued with consistency throughout his life is in the process of acquiring "conditional planes," which is the philosophical essence of painting. The artist states, "I was intellectually influenced by the class of Professor Lee Gyusang 'Importance of the artist's will regarding the plane,' as well as the class of Kim Whanki 'Constant attitude of fulfillment towards work' when I was a student of art college of Hongik University. Due to the nature of my character, I often think about the fundamentals of ideas, and I believe that this led me to be more interested in the essence of painting.” Choi Myoungyoung was able to explore the elements of essentialism, which is the driving force of modernity, while pursuing the fundamentals and essence. From the point of view of which character and art are inseparable, the artist also accompanies the traditional thought as painting of the mind of East Asia.
From the early 1970s to the present, Shim Moonseup has continuously manifested his will to reveal nonmaterial mentality by using materials such as wood, stones, earth and iron that serve as matière through serial works consisting of "Opening up," Thoughts on clay," "Wood deity" "Metaphor" and "The presentation." However, while living in France, the artist started to immerse himself in painting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s of the physical conditions. The process of repeatedly applying blue watercolor paint to the white oil-based paint is his will to manifest the attitude of a meditator or ascetic who approaches every moment of daily life with respect. In addition, the blue reminiscent of waves embraces the thought that one is closely united with nature. Oneness pursues the concept of the whole and shares the same etymology as "holiness."
Choi Byungso transforms the material of newspaper in a miraculous manner by painting newspapers, which is a symbolic medium that separates the early modern times from the modern times, while using graphite and black ballpoint pens. The noise of newspapers with superfluous information of all sorts finally end in complete silence. The artist's work, like a silent shadow, is also considered the world of arising that creates new possibilities. The reversal of the phenomenon where the world as abundant suddenly transforms into an informative moment does not take place in the world. It is because this is revealed only in the art of Choi Byungso.
Lee Kyojun has been devoting himself to geometric abstract painting. From the 1970s, he has been pursuing the avant-garde spirit while applying the industrial matière such as plywood and metal plates. Later, he started to draw horizontal and vertical images by applying the traditional creation method of painting such as acrylic painting and oil painting. The quadrangle divided by the horizontal images crossed by the vertical ones symbolizes an absolute space. This absolute space of Lee Kyojun represents not only the physical source beyond the time and matière but also the spirit transcending the space-time and materials that approaches the world of principles of reasoning.
Park Jongkyu constructs the most orderly world in the repeated dialectic. First, it starts with the dialectical struggle between the media and painting. Painting was the first magic of humankind. Magic made people fail to distinguish it from reality. People invented letters or characters in order to criticize magic. Letters gave people rational thinking. Letters evolved into computers. Therefore, computer images are different from paintings in nature. Park Jongkyu dramatically achieves consilience between the two. Second, the artists uses noise images among many computer images. When the noise image is enlarged,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the enlarged scene and the normal image. Thus, the artist establishes the paradox of which the origins of the thing with visual pleasure and the unsightly one are the same in the painting work. Park Jongkyu is overcoming the problems such as hierarchical thinking, inequality, and alienation by applying the methodology of New Painting, and he confirms that the spirit of our time originates from a multi-layered reality.
Yoon Sangyuel draws on papers and films with sharp leads, to create a phenomenal rule made of numerous crests and troughs. On top of that, the printer draws lines by using computer programming. For instance, by making lines of 0.3 mm or 0.05 mm and applying shade with 93% of black or 77% of brown to the lines, while combining numberless lines and colors, he creates an abyss with mysterious depth in the crests and troughs. Indescribable wonder overwhelms in the regular heights of these colors. Basically, it is a drawing created by combining labor-intensive manual work and a computer, but it successfully embodies a deeper pictoriality than any other paintings.
We had already inquired into various historical cases of adoptation of "素“ and understood about its nine meanings such as 1) the unprocessed and natural preciousness, 2) infinite possibilities, 3) fundamental things, 4) authenticity, 5) the simple state away from the worldly environs, 6) truth hidden in everyday life, 7) Emptiness, 8) the spirit of preparedness, 9) consistent mood regardless of time. All phenomena are called "the world of reason" while the cause of inherent causes of the phenomenon beyond the phenomenon is called "the world of principles of reasoning." Following this logic, "素“ is the world of principles of reasoning that enables the white of the world of reason, which is revealed as a material phenomenon. A true appreciation of this exhibition can be achieved only by being able to capture the meaning of "素“ inherent in white expressed by the nine artists. Furthermore, at the same time, we ought to remember that modernist painting in Korea is a manifestation of our perception of art that has been accumulated over the vast reaches of time.


Lee Jinmyung: Art critic & specialist in Aesthetics and Oriental Studies
(February 4,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