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nsion

Jungsook Ahn

2022-05-10 ~ 2022-06-10

Eternal Dialectics of Time and Infinitude


Though we like some popular song of a great singer, we long for the singer's unreleased hidden songs at the same time. Comparing Korean contemporary art to that singer, we are fond of known great songs, but we still wait for unreleased hidden classics. Since 2010, Ahn Jungsook(1961- ) approached us with proud and vivacious energy after having kept herself veiled for quite a while. In Korean Dansaekhwa held in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of Gwacheon in 2012, in company with great artists such as Yun Hyongkeun (1928-2007), Park Seobo (1931- ), Chung Sanghwa (1932- ), Lee Ufan (1936- ), Kim Guiline (1936-2021), Ha Chonghyun(1935- ), Lee Kangso (1943- ), Lee Dongyeob (1946-2013), and Kim Tschoonsu (1957- ), Ahn Jungsook confidently displayed the vitality and philosophy of her work. This way, she was recognized as part of grand wave of Korean Dansaekhwa.
The logic of painting that Ahn Jungsook has consistently manifested in her Tension series since the 1990s is strictly separated from the agenda of “overcoming of modernity” or“the world itself” stated by Lee Ufan, as well as the “neutral structure”or“Korean spirituality” raised by Park Seobo. The art world represented by Ahn Jungsook is far from the logic of Monoha (もの派) as the will of overcoming the modernity mentioned by Lee Ufan as follows: "we explore the structure of the world and the existence of humanity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simple materials and humans." Moreover, her art world goes one step further from the belief of Lee Ufan in that“human action” can serve as an opportunity to re-recognize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material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nature. Here, Lee Ufan aims at the reflection on the subject-object dichotomy of anthropocentrism.
On the other hand, Park Seobo states, "The reason for giving up expressing images does not come from realizing that failure of modernism, the end of anthropocentrism, or embodiment modernity were nothing but an illusion of an ideology... but comes from the fact that there is intention to live in inaction and innocence.” Beyond the phenomenological world and self-contemplation to overcome modernity, Park Seobo paid attention to the inner world as inaction
and innocence. Through the painting, he showed the logic of “Li Yi Fen Shu” in that the encounter with the inner world of inaction and innocence leads to self-discipline where the matter is inseparable from the spirit and the principle of the world as one, where the principle dwells in all things and humans.
Paintings of Ahn Jungsook start from the question of the square. In the art history, we are well aware that "Madonna della Seggiola", the work of Raffaello Sanzio (1483-1520) of 1514 work was painted on a round canvas. We are also aware of the shapeless painting style of the French contemporary painter Claude Viallat (1936- ). It is known that Raffaello chose a circular structure symbolizing equality to represent the most human figure of Saint Mary embracing the Christ child. In fact, in the circular structure, the psychological distance between God and humans is resolved. On the other hand, Claude Viallat adopted shapeless or amorphous repetition by rejecting the signature and date as a gesture of demystification to remove the myth of a rectangular canvas. The convex and concave shapes of Anish Kapoor (1954- ) are a paradoxical concept intending to rather dramatize spirituality by representing the infinite boundary of the eternal equilibrium that occurs in materials. Then, what could the amorphous paintings of Ahn Jungsook possibly represent? Although they have different styles of expression, they encompass all the intentions of the aforementioned artists. In addition, her paintings open the door to another truth untold by these three artists.
Today, countless directives expressing contemporary culture or art trends are constantly being created. From the early 1990s to the present, many terms such as remodernism, performatism, hypermodernism, automodernism, renewalalism, aftermodernism, digimodernism and metamodernism have been generated without interruption and the discussions on the terms are unceasing. As is well known, perhaps the most powerful one among them must be the intense content presented in “The Postmodern Condition”by Jean-François Lyotard (1924-1998). In fact, no strict distinction exists between modernism and postmodernism. However, Lyotard just assumed the grounds of the possibility of philosophical division, after having witnessed the phenomenon of cultural fragmentation. Jean-François Lyotard found the postmodern condition from the narrative of history. The outline drawn by Lyotard can be roughly summarized as follows. In the perspectives such as enlightenment-oriented teleology implied in the word “social evolution,” the history of human intelligence, Christian eschatology, and Marx's view of history, there is something in common in the sense that history has a metanarrative that encourages it. For this reason, Lyotard states as follows:

“Simplifying to the extreme, I define postmodern as incredulity towards metanarratives.”

Even beliefs in the evolution of science that are accepted as truth have been gone through damages by progress and the consequent insights into quantum mechanics, cybernetics, dissipative structures, information theory, fractal theory, chaos theory, and string theory. Moreover, technological changes in communication and mass media have entirely shaken the concept of which science and society make progress. Therefore, the Irish poet William Butler Yeats (1865-1939) predicted the aspects of the future as follows, in his representative work, ‘The Second Coming’ in 1919.

“Turning and turning in the widening gyre
The falcon cannot hear the falconer;
Things fall apart; the centre cannot hold;
Mere anarchy is loosed upon the world,
The blood-dimmed tide is loosed, and everywhere
The ceremony of innocence is drowned;
The best lack all conviction, while the worst
Are full of passionate intensity.”

Ahn Jungsook did not trust the linear development scheme of history even from the beginning. The squares in painting are the symbols of patriarchal authority, whether it is representational art or abstract expressionist art. Painting, which occupies the uppermost part of the hierarchy of the human spirit, locks the viewer in the artist's gaze and thoughts, by reproducing and expressing the world on a square-framed canvas. The viewer of the painting is limited to the world of the scope of the artist’s understanding. This equally happens to materiality-based painting or monochrome painting. For Ahn Jungsook, history revolves in a helix form and not in a straight line. For her, the world is neither water as a stagnant cubic structure in a swimming pool nor a noun. It is a gyre in the stream. It is a vivacious adjective that resonates with immense vigor by the numberless living creatures combined with the sound of water. Therefore, the artist breaks away from the myth of painting given by the square frame and moves to the space of demystification. (She takes off the myth of authority to create the myth of possibilities). The artist's painting resembles the frame of Raffaello’s “Madonna della Seggiola” in that she insists on equality between the object (world) and myself (subject). It is reminiscent of Anish Kapoor's convex-shaped work “Cloud Gate” in the sense that she draws an infinite trajectory without losing the eternal dynamic equilibrium (center). Nevertheless, her paintings do not portray an equilibrium state where materials and spirit fail to meet each other.
The unfoldment of all events implies the improbable or the absurd of infinitude hidden (enfolded) behind the phenomenon that appears as probability. For example, the fact that I myself exist is the result of an accidental probability. In case one of numerous ancestors of mine had been married to another spouse, the current me must be different or would have never existed. The fact that the tree over there exists is the result of an accidental probability. There may be different species of trees, or they must have been situated in different locations depending on birds, winds, and topography. Therefore, all living beings contain infinite different possibilities. Therefore, rather than being a self as an “I” with a capital letter, I imply the possibility of numerous others. In addition, considering that I myself imply the possibility of the other, I must devote myself to the other. In this context, Emmanuel Levinas (1906-1995) says that we see God’s face in the face of the other.
The canvas of Ahn Jungsook has a round circle with a pronounced concave form. The arc of the arrow pulled with extreme tension demonstrates the power of movement in the middle of calm by concentrating high-level energy. If we see it from the front, it is a line. However, approaching it from a slightly different angle, a variety of shapes and shades of colors continuously change. It shows a number of different shapes, while displaying dynamic changes depending on time and location. Therefore, the ‘Tension’ series of Ahn Jungsook is both actuality (energeia) that appears in reality, and potentiality (dynamis) imbued with the shape of infinitude. While possessing the identity as an object, it conceives infinite others at the same time. Therefore, her ‘Tension’ series reminds us of the Chapter 22 of Laozi.

To be crooked is to become perfect. Bending makes one straight.
Being empty makes one full. Being worn out keeps one new.
Having little gives one access. Having much leads one astray.
In this way, the sage embraces the One (Tao) and becomes a model for all under Heaven.
He does not flaunt himself, thus he shines.
He does not insist that he is right, thus his rightness is manifest.
He does not boast about himself, thus his merit is acknowledged.
He avoids self-importance, thus he long endures.
It is because he does not contend that none among all under
Heaven can contend with him.
As the ancient saying has it, "Stepping aside keeps one's wholeness intact."
How could this ever be an empty saying!
Truly, such a one will revert to it with his wholeness intact."

In the above text, the key point consists in one principle that the sage takes as a rule, and the reason for entering this principle is the content described in the first sentence, “To be crooked is to become perfect.” Although this expression (曲則全) is usually interpreted as “To be crooked is to become perfect”, Wing-Tsit Chan (1901-1994) translates this, “To yield is to preserved whole."
The second sentence is also translated as “to be bent is to become straight.” In other words, if you insist on yourself excessively, you will lose the entirety. Contrarily, If you put aside your argument for a while and take a step back and observe the whole, you will find many opportunities to come. Afterwards he says, “to be bent is to become straight.” In my view, Laozi must have considered the image of a tree when talking about this expression “曲則全” referring to“to be bent is to become straight. ”People do not cut down bent trees. A bent tree survives by preserving itself for a long time. Since ‘Tension’ series of Ahn Jungsook also has a tensely curved shape, it is possible to pursue the whole. The artist’s arc is rhetoric, which obtains the infinite whole by bending the self instead. Etymologically, the terms “whole,” “holy,” and “health” have the same origin. All aim at complete oneness. For this reason, Cheng Ming Dao (1032-1085) mentioned, “The benevolent regards the heaven, earth and all things as one, so everything includes part of himself.”
Levinas talks about a moment when the doorbell rings and he opens the door while staying alone at a private space, an apartment, after having been immersed himself in something. From the momentary eternity of the moment until identifying the person who rings the doorbell before confirming the face, he talks about the ghastly instants of the faces of a number of people flashing by. According to him, the countless faces that flashed by in the momentary eternity are the whole of people, and that is the face of God. Similarly, the paintings of Ahn Jungsook bring the viewers closer to the front to invite them to look at the paintings from the side or from the bottom, making the viewers remind of the numberless images that flash by in the ephemeral eternity. The images that come up innumerable times close to infinity is something beyond the linguistic description. It is both the place of indeterminacy (Unbestimmtheitsstelle) and the unlimited form as defined by Roman Ingarden (1893-1970). Therefore I call it “the eternal dialectics of time and infinitude.”
There is one last thing to point out. As we have reviewed earlier, in the middle of distrust of the postmodern, conceptual words referring to countless trends or tendencies have been established in an uncontrolled manner. Among them, the painting world of Ahn Jungsook goes in line with the discussion of performatism. Performerism refers to a full-scale counterattack against postmodernism that began in the 1990s. It was the ardent desire of artists and philosophers to replace postmodern irony and skepticism with positive energy such as artistically mediated belief and the experience of transcendence. It was the will to invigorate new artistic vitality by connecting art with positive values such as love, beauty, reconciliation and transcendence. It was a great effort to eliminate the distrust that was the symptoms of the time, by giving special inspiration. In the paintings of Ahn Jungsook, I spontaneously appreciate values such as love, beauty, reconciliation,and transcendence.




Lee Jinmyeong: Art critic & specialist in Aesthetics and Oriental Studies




시간과 무한의 영원한 변증


우리는 위대한 한 가수의 유행곡을 좋아하지만 가수의 숨은 미발표곡을 갈망한다. 우리나라 현대미술을 그 가수에 비유한다면, 우리는 이미 알려진 위대한 노래를 좋아하면서도 여전히 발표되지 않은 숨은 명곡을 기다린다. 안정숙(安貞淑-) 작가는 우리에게 숨어있다 2010년부터 당당하게 다가왔다. 2012년 과천 국립현대미술관이 개최한 「한국의 단색화」에서 안정숙(安貞淑 1961- ) 작가는 윤형근(尹亨根, 1928-2007)ㆍ박서보(朴栖甫, 1931-)ㆍ정상화(鄭相和, 1932-)ㆍ이우환(李禹煥, 1936-)ㆍ김기린(金麒麟, 1936-2021)ㆍ하종현(河鍾賢, 1935-)ㆍ이강소(李康昭, 1943-)ㆍ이동엽(李東燁, 1946-2013)ㆍ김춘수(金春洙, 1957-)와 같은 거장과 함께 숨 쉬며 작품의 생명력과 철학을 당당하게 선보였다. 위대한 한국 단색화의 물결로 인정받은 것이다.
안정숙 작가가 1990년대부터 「Tension」 연작으로 일관되게 내세운 회화의 논리는, 이우환 작가가 말하는 “근대의 초극(超克)”이나 “세계 그 자체”라는 의제, 나아가 박서보 작가가 제기한 “중성 구조”나 “한국의 정신성”의 논의와 엄격하게 구분된다. 안정숙 작가의 예술세계는, 이우환 작가가 “단순한 물질과 인간과의 관계를 통해서 세계의 구조성, 인간의 존재성을 탐구한다.”라고 말했던 근대의 초극 의지로서의 모노하(もの派)의 논리도 아니거니와, “인간의 행위”가 “인간과 물질의 관계,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새롭게 인식하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라던 이우환 작가의 신념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간다. 여기서 이우환 작가가 겨냥한 것은 인간중심주의로서의 주객 이분법(dichotomy)에 대한 반성이다.
반면에 박서보 작가는 “이미지 표현을 단념하는 까닭은 근대주의의 파산이니 인간중심주의의 종말이니 하는, 또는 근대의 실현이 이념의 환상에 불과했다는 사실을 실감한 데서 비롯되었다기보다는……무위순수한 행위에 살고자 하기 때문이다.”라고 발언한다. 박서보 작가는 근대성을 극복하려는 현상학적 세계와 자아에 대한 고찰을 넘어 무위순수(無爲純粹)로서의 내면에 주목했다. 무위순수한 내면과의 마주침은 수양으로 나아가게 되고, 수양은 물질과 정신이 둘이 아니며, 세계의 이치는 한 가지이며 그 이치가 모든 사물과 인간에 깃든다는 이일분수(理一分殊)의 논리를 회화로 보여주었다.
안정숙의 회화는 사각형에 대한 의문으로부터 출발한다. 우리는 미술의 역사 속에서 라파엘로 산치오(Raffaello Sanzio, 1483-1520)의 1514년 작품 「의자에 앉아있는 성모 마리아(Madonna della Seggiola)」가 둥근 원형 캔버스에 그려졌음을 잘 알고 있다. 프랑스의 현대회화가 끌로드 비알라(Claude Viallat, 1936-)의 무정형의 회화형식에 대해서도 잘 알고 있다. 라파엘로의 경우, 가장 인간적인 성모자상을 표현하기 위해서 평등을 상징하는 원형구조를 선택했다고 알려져 있다. 진정 원형 구조 속에서 신과 인간의 심리적 거리는 해소된다. 반면, 끌로드 비알라는 사각형의 캔버스가 갖는 신화를 벗기기 위한 탈신화의 제스처로써 서명, 날짜를 거부하고 무정형의 반복성을 채택했다. 아니시 카푸어(Anish Kapoor, 1954-)의 볼록(convex)과 오목(concave)의 형상은 물질에서 펼쳐지는 영원한 평형상태의 무한경계를 나타내 오히려 정신성을 극화시키려는 역설의 개념이다. 그렇다면 안정숙 작가의 비정형의 회화는 무엇을 표상하는가? 다른 표현형이기는 하지만 위에서 언급한 작가들의 의도를 모두 포괄한다. 그리고 이 세 사람이 말하지 않는 또 다른 진리의 문을 연다.
현재 동시대 문화나 예술사조를 표현하는 수많은 지시어들이 난립하고 있다. 1990년대 초반부터 지금까지 리모더니즘(remodernism)ㆍ퍼포머티즘(performatism)ㆍ하이퍼모더니즘(hipermodernism)ㆍ오토모더니즘(automodernism)ㆍ리뉴얼리즘(renewalism)ㆍ애프터모더니즘(aftermodernism)ㆍ디지모더니즘(digimodernism)ㆍ메타모더니즘(metamodernism)과 같은 용어들이 쉬지 않고 생성되었으며 그 논의가 지금도 그치지 않는다. 그중 가장 강력한 힘을 발휘한 것은 주지와 같이 장 프랑수아 리오타르(Jean-François Lyotard, 1924-1998)의 [포스트모던의 조건]이 제시한 강렬한 내용일 것이다. 사실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사이에서의 엄밀한 구분은 존재하지 않는다. 다만 리오타르는 문화의 세분화 현상을 목도하고 철학적 구분 가능성의 전거를 가정했을 뿐이다. 장 프랑수아 리오타르는 포스트모던의 조건을 역사의 내러티브에서 찾았다. 리오타르가 그린 윤곽은 대략 다음과 같다. 사회의 진화라는 말에 내포된 계몽주의적 목적론, 인간지성사의 역사, 기독교 종말론, 마르크스의 역사관, 이 모두의 관점 속에는 역사는 그것을 추동시키는 메타내러티브(metanarrative)를 갖고있다는 공통점을 지닌다. 따라서 리오타르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극단적으로 단순화하자면, 나는 포스트모던을 메타내러티브의 불신이라고 정의한다.

심지어 진리라고 받아들여지는 과학의 진화에 대한 믿음 역시 양자역학ㆍ사이버네틱스ㆍ흩어지기구조(dissipative structures)ㆍ정보이론ㆍ프랙탈이론ㆍ카오스이론ㆍ끈이론(string theory)의 발전과 그로 인한 통찰력으로 손상되었다. 더군다나 커뮤니케이션과 매스미디어의 기술적 변화는 과학과 사회가 진보한다는 개념을 송두리째 흔들었다. 따라서 아일랜드의 시인 W. B. 예이츠(William Butler Yeats, 1865-1939)는 1919년에 그의 대표적 작품 「재림(The Second Coming)」을 통해서 다가올 미래시대의 모습에 대해 다음과 같이 예측했다.

점점 넓어지는 소용돌이로 뒤집히도다. 매는 매 사냥꾼의 소리를 들을 수 없다. 모든 사물은 결딴나고 있다. 중심은 유지되지 못하고, 무정부의 혼란만이 세상을 점거한다. 피로 흥건한 조류는 흐르고 순수의 의식은 물속에 휩싸인다. 현명한 자는 신념을 잃어가며, 악한 자는 게걸스러운 힘을 뽐내노니.

안정숙 작가는 역사의 선적(linear) 발전도식을 애초에 신뢰하지 않았다. 회화가 갖는 사각형은, 그것이 재현미술이든 추상표현주의 미술이든, 가부장적 권위를 상징한다. 인간정신의 위계 중에서도 가장 상층부를 점령하는 회화는 세계를 사각형의 틀과 캔버스에 재현하고 표현하여 보는 자를 화가의 시선과 사고에 가둔다. 그림을 보는 자는 화가가 이해하는 세계 속에 제한된다. 그것이 심지어 물성회화나 단색화라도 마찬가지이다. 안정숙 작가에게 역사는 직선이 아니라 오히려 나선형(helix)으로 회전한다. 작가에게 세계는 수영장 속에 고여 있는 입방체 구조로서의 물도 아니고 명사도 아니다. 시냇물의 소용돌이(gyre)이다. 수많은 생명체와 물소리가 합쳐져서 활발발(活潑發) 울려 퍼지는 생동감 있는 형용사이다. 따라서 화가는 사각형 프레임이 갖는 회화의 신화로부터 탈피하여 탈신화의 공간으로 이동한다. (권위의 신화를 벗고 가능의 신화를 창출한다.) 작가의 그것은 대상(세계)과 나(주체)의 평등을 주장한다는 점에서 라파엘로의 「의자에 앉아있는 성모 마리아」의 프레임을 닮았다. 영원히 다이내믹한 평형상태[中]를 잃지 않으면서 무한의 궤적을 그린다는 점에서 아니시 카푸어의 볼록 형상의 작품 「Cloud Gate」를 닮았다. 그러나 안정숙 작가의 회화는 물질과 정신이 서로 만날 수 없다는 평형상태를 그린 것이 아니다.
모든 사건의 진행(unfoldment)은 확정(probability)으로 나타난 현상 이면에 숨어있는(접혀있는, enfold) 무한의 불확정성(Improbable or Absurd)을 내포하고 있다. 가령, 나라는 존재자가 있는 것은 우연한 확률로 존재 가능한 것이다. 수많은 조상 중 단 한 사람이 다른 이성과 혼인했어도 나는 다른 모습이거나 존재하지 않는다. 저 나무가 저 위치에 있는 것은 우연한 확률로 있는 것이다. 다른 종(種)의 나무가 있거나, 새나 바람, 지형에 따라 다른 위치에 자리했을 수 있다. 따라서 모든 존재자는 수많은 무한의 다른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나는 대문자 ‘I’로서의 나(self)이기 전에 수많은 타자(other)의 가능성을 내포한다. 그리고 타자의 가능성을 내포하기 때문에라도 타자에 헌신해야 한다. 따라서 레비나스(Emmanuel Levinas, 1906-1995)는 타자의 얼굴에서 하느님의 얼굴을 본다고 말한다.
안정숙 작가의 화면은 둥근 원(圓)이 오목하게 돌출되어 있다. 극도의 긴장을 이루며 팽팽하게 당겨진 화살의 호(弧)는 고도의 에너지를 집약해서 정중동(靜中動)의 힘을 보여준다. 정면에서 응시하면 그것은 하나의 선(線)이다. 그러나 각도를 조금만 빗겨 보노라면 수많은 형형색색의 형태와 음영(陰影)이 변화한다. 그것은 시간과 위치에 따라 다이내믹하게 변화하면서 수많은 다른 형상을 보여준다. 따라서 안정숙 작가의 「Tension」 연작은 현실에 나타난 현실태(에네르게이아, energeia)인 동시에 무한의 형상을 머금고 있는 잠재태(디나미스, dynamis)이다. 대상으로서 아이덴티티를 지니면서도 동시에 무한의 타자를 잉태하고 있다. 따라서 안정숙 작가의 「Tension」 연작은 [노자(老子)]22장의 내용을 연상시킨다.

구부리면 온전해진다. 휘어있는 것이 곧 곧은 것이다.
움푹한 곳은 채워지게 되고 낡은 것은 새롭게 된다.
적으면 얻게 되고 많으면 미혹되게 된다.
이 때문에 성인은 도리[道] 하나를 안고 천하의 법칙으로 삼는다.
그래서 성인은 스스로 드러내지 않기 때문에 밝아진다.
스스로 옳다고 하지 않기에 오히려 자신이 드러난다.
스스로 자신의 공을 자랑하지 않기에 오히려 공을 가지게 된다.
스스로 자부하지 않기에 길게 갈 수 있다.
대체로 세상과 다투지 않는다. 그래서 천하의 모든 것이 그와 다툴 수가 없는 것이다.
옛날의 굽은 것이 온전하다는 말이 어찌 거짓이겠는가.
진실로 온전한 것이고 세상의 이치는 그것으로 귀일된다.

윗글에서 핵심은 성인이 법칙으로 삼는 한 가지 도리이며, 이 도리에 진입하는 계기는 첫 문장 “구부리면 온전해진다(曲則全).”라는 내용이다. 곡즉전(曲則全)을 통상적으로 “구부리면 온전해진다.”라고 해석하지만, 진영첩(陳榮捷, Wing-Tsit Chan, 1901-1994)은 “굴복하는 것은 전체를 보전(保全)하는 것이다(to yield is to be preserved whole)."라고 번역한다. 이어서 두 번째 문장도 “굽은 것은 곧게 된다(to be bent is to become straight)."라고 번역한다. 따라서 자기를 지나치게 주장하면 전체를 잃게 되고, 반면에 자기의 주장을 잠시 접어 한 발자국 물러서 전체를 관망하면 많은 기회가 다가온다는 것이다. 이어서 굽은 것은 곧게 된다고 말한다. 나는 노자가 곡즉전(曲則全)을 이야기할 때 나무의 이미지를 염두에 두었다고 생각한다. 사람들은 휜 나무는 베지 않는다. 휜 나무는 자기를 오랫동안 보전하여 지킬 수 있다. 안정숙 작가의 「Tension」 연작 역시 팽팽하게 굽은 형상이기 때문에 전체(whole)를 지향할 수 있는 것이다. 작가의 호(弧)는 자기를 굽혀서 오히려 무한의 전체를 얻는 수사학(rhetoric)이다. 전체(whole)와 성스러움(holy), 그리고 건강(health)의 어원은 같다. 모두 완전한 일체(oneness)를 지향한다. 따라서 정명도(程明道, 1032-1085) 선생은 “인(仁)을 구유한 사람은 천지만물을 일체로 여긴다. 그래서 자기가 아님이 없다.”라고 말한 것이다.
레비나스는 사적 공간인 아파트에서 혼자 머물며 무언가에 몰두하다가 초인종이 울려서 문을 열었을 때의 순간에 대하여 이야기한다. 초인종을 누른 사람의 얼굴을 확인하기 전 누군지 식별되기까지, 그 찰나의 영원함에서, 수많은 사람의 얼굴이 스쳐가는 섬뜩함에 대하여 이야기한다. 순간의 영원 속에서 스쳐갔던 수많은 얼굴은 사람 전체이고 그것은 하느님의 얼굴이라는 것이다. 이와 비슷하게 안정숙의 회화는 관객을 정면으로부터 다가오게 하여 측면이나 하단에서 바라보게 할 때, 찰나의 영원함에서 무수하게 스치는 수많은 형상을 떠올리게 한다. 그 무한에 가깝도록 수도 없이 떠오르는 형상은 언어로 규정할 수 없는 것이다. 그것은 로만 잉가르덴(Roman Ingarden, 1893-1970)이 말한 무규정성의 장소(無規定性場所, Unbestimmtheitsstelle)이자 무제한적 형상이다. 따라서 나는 그것을 시간과 무한의 영원한 변증이라고 부른다.
마지막으로 짚어가야 할 것이 남아있다. 앞서 보았듯이 포스트모던의 불신 속에서 수많은 사조나 경향을 지칭하는 개념어들이 난립했다. 그중에서 안정숙 작가의 회화세계는 퍼포머티즘(performatism)의 논의와 어울린다. 퍼포머티즘이란 1990년대 시작된 포스트모던에 대한 전면적인 반격을 가리킨다. 그것은 포스트모던의 아이러니나 회의주의를 예술적으로 중재된 신념이나 초월경험과 같은 긍정적 기운으로 대체하고자 했던 예술가, 사상가들의 열망이었다. 예술을 사랑‧아름다움‧화해‧초월과 같은 긍정적 가치로 연결 지어 새로운 예술적 활기를 살리고자 했던 의지였다. 특별한 감흥을 주어 시대적 징후였던 불신을 떨치려했던 위대한 노력이었다. 나는 안정숙의 회화에서 사랑‧아름다움‧화해‧초월의 가치를 읽는다.

이진명, 미술비평‧미학‧동양학